Skip to content

조회 수 12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국가에 대한 자부심, 우리는 결코 가질 수 없는 이유

[리뷰] 영화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에 드러난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진짜 '보수'

김종성(wanderingpoet)   편집곽우신(gorapakr)

16.10.02 15:25최종업데이트16.10.02 15:25

 

 

IE002028114_STD.jpg

▲갑작스러운 재난, 그러나 기장은 승객을 포기하지 않았다.ⓒ 워너브러더스 코리아(주)

 


2009년 1월 15일, 승무원을 포함해 155명이 탑승한 US에어웨이 1549편 여객기가 뉴욕 라가디아 공항에서 이륙했다. 모든 것이 평소와 같았다. 하지만 갑자기 날아든 새 떼가 양쪽 엔진에 충돌하는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가 발생한다. 불과 850m 상공에서 벌어진 일이다. 관제탑에선 회항을 권유하지만, 설리 설렌버거 기장(톰 행크스)은 직감적으로 회항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허드슨 강에 비상착수를 시도한다. 탑승자 전원이 사망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상황, 그러나 결과는 전원 생존이었다. 전례가 없던 일, 그야말로 '기적'이었다.
 


보수주의자 클린트 이스트우드

9·11 테러의 트라우마가 고스란히 남아 있던 뉴욕, 2008년에 터진 금융 위기가 시민들을 옥죄고 있던 상황에서 '허드슨 강의 기적'은 뉴욕 시민뿐만 아니라 미국인들에게 희망을 주는 따뜻한 소식이었다. 설리(전투기 조종사 때부터 사용했던 호출명)는 일약 스타, 아니 '영웅'이 된다. 언론은 긴박한 순간에서 기지를 발휘해 탑승객 전원을 생존시킨 설리를 대서특필하며, 그를 칭송하기에 여념이 없다. 한편, 국가 운수안전위원회는 회항이 아니라 허드슨 강에 비상 착수한 설리의 판단이 옳은 것이었는지 집요하게 파고든다.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은 양 극단의 반응 사이에서 사고 당시의 기억을 더듬으며, 자신의 판단이 옳은 것이었는지 끊임없이 고민하는 한 영웅의 심리를 쫓아간다. 탑승자 전원이 생존한 건 천만다행이지만, 회항을 선택하지 않고 강에 비상 착수를 한 건 '오판'이 아니었을까. 훨씬 더 높은 확률의 안전이 보장됐음에도 오히려 위험을 자초한 것은 아니었을까. 조사관들은 설리를 점차 조여오기 시작한다. 그 역시 '피해자'였음에도 설리는 '책임자'라는 자리에서 벗어날 수 없다. 참으로 고독한 위치가 아닐 수 없다.

 

 

IE002028117_STD.jpg

▲단 한 명의 승객도 죽지 않았지만, 그런데도 설리는 집요한 추궁을 받는다. 과연 그게 최선이었는지를.ⓒ 워너브러더스 코리아(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지 않고, 혼란에 빠지지 않으며, 해결책을 찾아 나가는 인물은 정말 뛰어난 위인이다. 영화에서 설리의 행동을 보는 것 자체로 정말 흥미로운 일이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

도덕적 딜레마를 맞닥뜨린 한 개인(영웅)의 고독한 싸움. '영웅주의'에 천착해 왔던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이 '허드슨 강의 기적'이라는 소재를 그냥 지나칠 리 없다. 당사자의 '내면'에는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사회의 비정함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주인공의 고뇌를 풀어낸다.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거장답게 뻔한 영웅 스토리를 뒤집어씌우기보다, '영웅'과 '죄인'이라는 극단적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아슬아슬한 상황을 그려내며 긴장감을 끌어낸다.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골수 공화당원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가 '허드슨 강의 기적'을 영화로 만들고자 했던 이유의 기저에는 '미국'에 대한 자부심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자랑스러움에는 바로 '보수(保守)'라는 가치에 대한 긍지가 담겨 있다. 보수라는 게 도대체 무엇인가. 국민의 생명과 신체, 그리고 재산,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지키고 유지하는 힘이 아니겠는가. 시스템은 제대로 유지되고 있고, 언제든지 당신을 위해 작동할 것이다. 안심해도 좋다. 지금의 이 사회는 단단하고, 안전하다. 걱정하지 마라.

1549편 여객기가 허드슨 강에 비상 착수한 지 4분이 채 지나지 않아 첫 번째 구조선이 도착했다. 곧이어 뉴욕시의 구조대원과 해안경비대가 도착했다. 1200명의 구조대는 일사불란하게 탑승객을 전원 구조한다. 불과 24분 만에 이뤄진 일이다. 더 놀라운 건, 마지막까지 비행기에 남아 "아직 누구 있습니까?"라고 외치며 승객들이 모두 빠져나갔는지 확인하는 기장의 모습이다. 그는 탑승객 전체 숫자인 '155'를 강조한다. 마침내 155명이 전원 생존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서야 마음을 놓는다.

 


미국인이 안도하고 감동할 동안, 우리는 왜 씁쓸한가
 

IE002028115_STD.jpg

▲공화당 지지자로 유명한 영화 감독 클린트 이스트우드, 그가 보여주고 자랑하는 '보수'는 한국의 보수와 격을 달리한다.ⓒ 워너브러더스 코리아(주)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을 보면서 미국인들은 감독의 의도대로 '안도감'과 '감동'을 느꼈을 테지만, 우리의 입장은 좀 다르다. 착잡하고 씁쓸하기 짝이 없다. 대한민국은 이른바 '보수 정권'이라 명명되는 긴 시기를 보내고 있다. 우리에겐 그에 대한 '자부심'이 있는가. 국민의 안전을 책임질 시스템은 제대로 구동하고 있는가. '보수'가 주는 안전함이 피부로 느껴지는가. 안타깝게도 '불안'과 '공포'만 커진 세월이었다. 그 누구도 '국가'를 믿지 못한다. '시스템'을 신뢰하지 못한다. 도대체 왜 이렇게 된 것인가.

세월호 사건이 발생한 지 2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그 트라우마는 아직도 채 가시지 않았다. 우리에겐 '설리'가 없었다.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 구조에 임하는 승무원도 없었다. 자신만 탈출하기 바빴던 이기적인 선장과 승무원들만 있었다. 긴박한 순간에서 해경의 구조는 부실했고, 관료들은 무능함을 뽐내기 바빴다. 또, 정부는 총체적으로 무책임했다. 매뉴얼은 없었고, 그나마 있던 상식들도 지켜지지 않았다.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상황들이 눈앞에 펼쳐졌다.

얼마 전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강진이 발생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세월호 사건 이후 신설된 국민안전처는 지휘소로서 제구실을 하지 못했다. 주무부처인 기상청도 마찬가지였다. 기상청의 대응 메뉴얼에; 야간 지진 발생 시 밤에는 장관을 깨우지 말아라.'라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는 게 믿어지는가. 아무런 준비도, 대응도 마련돼 있지 않았다. 국민은 또다시 재난의 인질이 돼 불안에 떨어야 했다. 세월호 사건을 겪은 후에도 여전히 대한민국은 달라진 게 없었다.

설리는 NTSB(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미연방교통안전위원회)의 청문회에 소환되고, 그 자리에서 의원들은 철저한 진상규명을 위해 각종 의혹을 제기하고 검증한다. 물론 설리의 입장에서, 그리고 그에 편에 서게 된 관객들에겐 야속한 장면이지만, 오히려 그 장면은 큰 위안을 줬다. '진실'이 무엇이든 간에, 그것을 규명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그런 관점에서 세월호 특조위가 어떻게 진행돼 마무리됐는지를 살펴보면 놀랍기 짝이 없다. 정부와 여당의 노골적인 방해는 참담한 수준이었다.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은 '개인'과 '시스템'이 공존하는 사회의 안전함을 보여준다. 그 속에서 시민들은 안심하고 '오늘'을 살아갈 수 있다. 대한민국은 여전히 <터널>에 머물러 있다. 사회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개인은 '오늘'을 살아갈 수 없다. 시스템을 신뢰하지 못하는 개인은 부서질 수밖에 없다.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를 보면서 부러움을 느끼는 동시에 마음이 먹먹했던 건, 시스템의 부재 속에서 꽃다운 삶을 마감해야 했던 아이들이 눈에 밟혔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 자신도 그런 처지에 놓여 있다는 또 한 번의 자각 때문이었다.

 

 

IE002028113_STD.jpg

▲<설리: 허드슨강의 기적> 포스터. 감동적이지만 동시에 씁쓸하다.ⓒ 워너브러더스 코리아(주)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 ?
    수보하는 자 2016.10.17 06:27

    이 기사에서 딱 한 문장이 와닿았고
    왜 우리가 대한민국 보수를 보수가 아니라 말하는지 알았다..



    보수라는 게 도대체 무엇인가. 국민의 생명과 신체, 그리고 재산,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지키고 유지하는 힘이 아니겠는가. 시스템은 제대로 유지되고 있고, 언제든지 당신을 위해 작동할 것이다. 안심해도 좋다. 지금의 이 사회는 단단하고, 안전하다. 걱정하지 마라.



    누가 국민들을
    공포에 떨게하고
    사지로 내몰며
    사건을 은폐하고 조작하는것을 보수라 말할수 있을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김원일 2014.12.01 8644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7 38704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7 54509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6336
1377 가을엔 fallbaram 2016.09.29 201
1376 가을을 남기고 간 사랑 - 패티김 가을 2016.10.18 122
1375 가을을 타는 남자 4 김균 2016.10.01 324
1374 가을이 남긴 흔적 1 지용 2016.10.07 141
1373 가을이 오는 소리 6 가을에 2016.09.30 219
1372 가증한 것들 7 file 김균 2016.11.24 495
1371 각종 방송사들 문재인 홍은동 자택으로 이동시작!!!! 안봐도 비데오 2017.05.09 140
1370 간단한 HTML소스 배워보기 3 백향목 2016.09.24 879
1369 간음한 목사도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에서 벗어났기에 어쨌든 구원은 받는가? 30 한빛 2016.09.17 401
1368 간첩과 그 가족들 2 김균 2020.04.29 90
1367 갈라디아서 2장 3 등대지기 2017.09.28 249
1366 갈라디아서 3:1-5 나성교회 정동석 목사 전용근 2016.09.17 201
1365 갈릴레오의 출현 들꽃 2022.12.31 208
1364 감리교단의 동성애 목회자 허용 1 들꽃 2024.05.03 200
1363 감사 2 fallbaram 2016.09.08 249
1362 감사한 죄, 교회 다니는 죄, 안식일 지키는 죄 4 아기자기 2017.10.18 431
1361 갑작스런 개헌 주장의 배경은 뭘까? 개헌 2016.10.24 68
1360 강남 모 중소기업사장 아들 비행기 내에서 "그만해~"를 반복하며 일갈, 심지어 욕까지 햬. 기내 승객들 박근혜 대통령에게 "그만해~"라고 한 것으로 이해했다고 경찰에 '선처' 부탁 멘붕 2016.12.22 222
1359 강아지 1 동물농장 2016.10.16 111
1358 강아지2 1 동물농장 2016.10.16 167
1357 같이않은 견해를 기대하며 10 들꽃 2019.03.15 319
1356 개 사료 전달식... 2 일갈 2016.09.07 260
1355 개 짖는 소리 4 file 김균 2017.09.21 277
1354 개꿈 4 file 김균 2017.10.01 270
1353 개신교, 최태민 '목사' 호칭이 그리 불편한가 고장난 2016.11.04 237
1352 개정 신약 복음서 요한계시록- 칙사님 태자마마 최태민 계시록 일갈 2016.11.01 275
1351 개헌론자들에 대해 유시민 작가의 일침 한국 2017.05.07 80
1350 개헌보다 선거제도 개혁이 우선이다. 친일청산 2016.09.19 78
1349 갱년기 1 file 김균 2021.05.17 284
1348 거길 왜 갔냐고요? 세 아이의 아빠라서요...참 향기로운 가족. 1 의로운삶 2016.10.07 254
1347 거꾸로 성조기. 병아리 2017.07.17 168
1346 거룩한 우상 22 김주영 2016.09.13 444
1345 거룩함의 정치 혁명  (마지막회) 곰솔 2017.01.29 140
1344 거세지는 국민 분노…'최순실 게이트' 규탄 서울 대규모 촛불집회 촟불 2016.10.29 112
1343 거짓 선지자의 증거 눈뜬자 2017.09.28 170
1342 걱정하지 마세요. 내가 십자가를 메겠소 17 김균 2016.10.04 414
1341 건강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 2 김주영 2021.01.17 122
1340 건강한 삶의 알파와 오메가 1 김주영 2021.02.01 103
1339 겨울 숲은 환하다 1 다알리아 2021.01.25 102
1338 겨울풍경을 보려고 1 산울림 2017.01.01 170
1337 겨자 씨알만한 믿음있는자가 있는가? 바이블 2018.09.23 228
1336 결론으로 말하는 정죄 1 file 김균 2017.10.01 280
1335 계급이란 무엇인가 김원일 2021.02.06 138
1334 계란 후라이 맛있게 만드는 법 2 file 김균 2017.10.18 805
1333 계명으로 뭔가를 얻고자 하는 분들에게 5 김균 2017.09.29 264
1332 계속되는 기도력의 말씀에 안타까운 마음이... 4 고바우중령 2016.10.23 187
1331 고 김선억 목사님 장례 일정 1 1.5세 2017.05.28 289
1330 고개 숙였다고 겸손한 것 아니다 1 file 김주영 2017.03.09 366
1329 고기 이야기 나도 좀 해볼란다 13 박성술 2016.09.13 361
1328 고려인 1 무실 2017.07.14 222
1327 고로나19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 김균 2020.07.12 156
1326 고무 배를 타고 오는 난민을 구하는 그리스 사람들 그리고 난민과 이민자를 더 이상 허용않겠다는 미국.... 4 무실 2017.01.31 231
1325 고산병 치료 전문병원 평전 2016.11.25 109
1324 고장난 저울 11 초원 2016.12.16 346
1323 고추 먹고 맴맴 새우 먹고 맴맴 6 file 김균 2017.09.28 296
1322 고향의 노래 - 이수인 곡, 김재호 시 / 서울센트럴남성합창단 연주 1 전용근 2016.09.24 203
1321 곤경에 처한 목사 산울림 2016.09.17 220
1320 곰솔님....말세 징조라고?...개뻥되겠습니다. 4 동해바다 2017.01.13 216
1319 공주 유치원 라벨 2016.12.28 129
1318 공주전(연세대 커뮤니티) 일갈 2016.11.01 135
1317 곽건용 목사 저 <알 수 없는 분>(꽃자리) 출판기념 북콘서트에 여러분을 초청합니다. 5 김원일 2017.02.21 245
1316 곽건용 목사의 책 이야기 01 2 김원일 2021.01.20 137
1315 곽건용 목사의 책 이야기-성서의 뜨락을 거닐다 02 <Text and Concept (텍스트와 개념)> 1 김원일 2021.01.23 108
1314 곽건용의 책 이야기-성서의 뜨락을 거닐다 3 김원일 2021.01.31 133
1313 곽건용의 책 이야기-성서의 뜨락을 거닐다 4 God's Phallus: And Other Problems for Men and Monotheism (하나님의 성기: 그리고 남성과 유일신론의 또 다른 문제점들) 김원일 2021.02.20 3054
1312 곽건용의 책 이야기-성서의 뜨락을 거닐다 5 James Barr "The Garden of Eden and the Hope of Immortality"(에덴동산과 영생의 희망) 김원일 2021.02.20 1438
1311 곽건용의 책 이야기-성서의 뜨락을 거닐다 6 " The Nathan Narratives" by Gwilym H. Jones 김원일 2021.03.14 65
1310 곽건용의 책 이야기-성서의 뜨락을 거닐다 7 Norman C. Habel, The Land Is Mine: Six Biblical Land Ideologies 김원일 2021.03.14 162
1309 관리자님, 게시판 글들을 복사해서 다른 게시판에 붙이려고 하는데 3 블라블라 2016.10.17 197
1308 관리자님께 9 김운혁 2016.09.09 281
1307 광화문 분신 정원스님, 이재명 성남시장에게 유서남겨…내용은? 유필 2017.01.10 135
1306 광화문에 가서 트럼프 엿 먹여야 하는 "Prophetic" 이유 김원일 2017.11.04 246
1305 교권주의의 밑뿌리 ‘담임목사 종신제’ 2 한국교회 2016.12.27 211
1304 교단 사역역자에 대한 비난 들꽃 2024.04.30 157
1303 교리가 진리라는 포장을 거치면 1 김균 2020.06.24 1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

Copyright @ 2010 - 2024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