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2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국가에 대한 자부심, 우리는 결코 가질 수 없는 이유

[리뷰] 영화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에 드러난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진짜 '보수'

김종성(wanderingpoet)   편집곽우신(gorapakr)

16.10.02 15:25최종업데이트16.10.02 15:25

 

 

IE002028114_STD.jpg

▲갑작스러운 재난, 그러나 기장은 승객을 포기하지 않았다.ⓒ 워너브러더스 코리아(주)

 


2009년 1월 15일, 승무원을 포함해 155명이 탑승한 US에어웨이 1549편 여객기가 뉴욕 라가디아 공항에서 이륙했다. 모든 것이 평소와 같았다. 하지만 갑자기 날아든 새 떼가 양쪽 엔진에 충돌하는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가 발생한다. 불과 850m 상공에서 벌어진 일이다. 관제탑에선 회항을 권유하지만, 설리 설렌버거 기장(톰 행크스)은 직감적으로 회항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허드슨 강에 비상착수를 시도한다. 탑승자 전원이 사망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상황, 그러나 결과는 전원 생존이었다. 전례가 없던 일, 그야말로 '기적'이었다.
 


보수주의자 클린트 이스트우드

9·11 테러의 트라우마가 고스란히 남아 있던 뉴욕, 2008년에 터진 금융 위기가 시민들을 옥죄고 있던 상황에서 '허드슨 강의 기적'은 뉴욕 시민뿐만 아니라 미국인들에게 희망을 주는 따뜻한 소식이었다. 설리(전투기 조종사 때부터 사용했던 호출명)는 일약 스타, 아니 '영웅'이 된다. 언론은 긴박한 순간에서 기지를 발휘해 탑승객 전원을 생존시킨 설리를 대서특필하며, 그를 칭송하기에 여념이 없다. 한편, 국가 운수안전위원회는 회항이 아니라 허드슨 강에 비상 착수한 설리의 판단이 옳은 것이었는지 집요하게 파고든다.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은 양 극단의 반응 사이에서 사고 당시의 기억을 더듬으며, 자신의 판단이 옳은 것이었는지 끊임없이 고민하는 한 영웅의 심리를 쫓아간다. 탑승자 전원이 생존한 건 천만다행이지만, 회항을 선택하지 않고 강에 비상 착수를 한 건 '오판'이 아니었을까. 훨씬 더 높은 확률의 안전이 보장됐음에도 오히려 위험을 자초한 것은 아니었을까. 조사관들은 설리를 점차 조여오기 시작한다. 그 역시 '피해자'였음에도 설리는 '책임자'라는 자리에서 벗어날 수 없다. 참으로 고독한 위치가 아닐 수 없다.

 

 

IE002028117_STD.jpg

▲단 한 명의 승객도 죽지 않았지만, 그런데도 설리는 집요한 추궁을 받는다. 과연 그게 최선이었는지를.ⓒ 워너브러더스 코리아(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지 않고, 혼란에 빠지지 않으며, 해결책을 찾아 나가는 인물은 정말 뛰어난 위인이다. 영화에서 설리의 행동을 보는 것 자체로 정말 흥미로운 일이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

도덕적 딜레마를 맞닥뜨린 한 개인(영웅)의 고독한 싸움. '영웅주의'에 천착해 왔던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이 '허드슨 강의 기적'이라는 소재를 그냥 지나칠 리 없다. 당사자의 '내면'에는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사회의 비정함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주인공의 고뇌를 풀어낸다.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거장답게 뻔한 영웅 스토리를 뒤집어씌우기보다, '영웅'과 '죄인'이라는 극단적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아슬아슬한 상황을 그려내며 긴장감을 끌어낸다.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골수 공화당원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가 '허드슨 강의 기적'을 영화로 만들고자 했던 이유의 기저에는 '미국'에 대한 자부심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자랑스러움에는 바로 '보수(保守)'라는 가치에 대한 긍지가 담겨 있다. 보수라는 게 도대체 무엇인가. 국민의 생명과 신체, 그리고 재산,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지키고 유지하는 힘이 아니겠는가. 시스템은 제대로 유지되고 있고, 언제든지 당신을 위해 작동할 것이다. 안심해도 좋다. 지금의 이 사회는 단단하고, 안전하다. 걱정하지 마라.

1549편 여객기가 허드슨 강에 비상 착수한 지 4분이 채 지나지 않아 첫 번째 구조선이 도착했다. 곧이어 뉴욕시의 구조대원과 해안경비대가 도착했다. 1200명의 구조대는 일사불란하게 탑승객을 전원 구조한다. 불과 24분 만에 이뤄진 일이다. 더 놀라운 건, 마지막까지 비행기에 남아 "아직 누구 있습니까?"라고 외치며 승객들이 모두 빠져나갔는지 확인하는 기장의 모습이다. 그는 탑승객 전체 숫자인 '155'를 강조한다. 마침내 155명이 전원 생존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서야 마음을 놓는다.

 


미국인이 안도하고 감동할 동안, 우리는 왜 씁쓸한가
 

IE002028115_STD.jpg

▲공화당 지지자로 유명한 영화 감독 클린트 이스트우드, 그가 보여주고 자랑하는 '보수'는 한국의 보수와 격을 달리한다.ⓒ 워너브러더스 코리아(주)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을 보면서 미국인들은 감독의 의도대로 '안도감'과 '감동'을 느꼈을 테지만, 우리의 입장은 좀 다르다. 착잡하고 씁쓸하기 짝이 없다. 대한민국은 이른바 '보수 정권'이라 명명되는 긴 시기를 보내고 있다. 우리에겐 그에 대한 '자부심'이 있는가. 국민의 안전을 책임질 시스템은 제대로 구동하고 있는가. '보수'가 주는 안전함이 피부로 느껴지는가. 안타깝게도 '불안'과 '공포'만 커진 세월이었다. 그 누구도 '국가'를 믿지 못한다. '시스템'을 신뢰하지 못한다. 도대체 왜 이렇게 된 것인가.

세월호 사건이 발생한 지 2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그 트라우마는 아직도 채 가시지 않았다. 우리에겐 '설리'가 없었다.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 구조에 임하는 승무원도 없었다. 자신만 탈출하기 바빴던 이기적인 선장과 승무원들만 있었다. 긴박한 순간에서 해경의 구조는 부실했고, 관료들은 무능함을 뽐내기 바빴다. 또, 정부는 총체적으로 무책임했다. 매뉴얼은 없었고, 그나마 있던 상식들도 지켜지지 않았다.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상황들이 눈앞에 펼쳐졌다.

얼마 전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강진이 발생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세월호 사건 이후 신설된 국민안전처는 지휘소로서 제구실을 하지 못했다. 주무부처인 기상청도 마찬가지였다. 기상청의 대응 메뉴얼에; 야간 지진 발생 시 밤에는 장관을 깨우지 말아라.'라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는 게 믿어지는가. 아무런 준비도, 대응도 마련돼 있지 않았다. 국민은 또다시 재난의 인질이 돼 불안에 떨어야 했다. 세월호 사건을 겪은 후에도 여전히 대한민국은 달라진 게 없었다.

설리는 NTSB(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미연방교통안전위원회)의 청문회에 소환되고, 그 자리에서 의원들은 철저한 진상규명을 위해 각종 의혹을 제기하고 검증한다. 물론 설리의 입장에서, 그리고 그에 편에 서게 된 관객들에겐 야속한 장면이지만, 오히려 그 장면은 큰 위안을 줬다. '진실'이 무엇이든 간에, 그것을 규명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그런 관점에서 세월호 특조위가 어떻게 진행돼 마무리됐는지를 살펴보면 놀랍기 짝이 없다. 정부와 여당의 노골적인 방해는 참담한 수준이었다.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은 '개인'과 '시스템'이 공존하는 사회의 안전함을 보여준다. 그 속에서 시민들은 안심하고 '오늘'을 살아갈 수 있다. 대한민국은 여전히 <터널>에 머물러 있다. 사회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개인은 '오늘'을 살아갈 수 없다. 시스템을 신뢰하지 못하는 개인은 부서질 수밖에 없다.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를 보면서 부러움을 느끼는 동시에 마음이 먹먹했던 건, 시스템의 부재 속에서 꽃다운 삶을 마감해야 했던 아이들이 눈에 밟혔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 자신도 그런 처지에 놓여 있다는 또 한 번의 자각 때문이었다.

 

 

IE002028113_STD.jpg

▲<설리: 허드슨강의 기적> 포스터. 감동적이지만 동시에 씁쓸하다.ⓒ 워너브러더스 코리아(주)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 ?
    수보하는 자 2016.10.17 06:27

    이 기사에서 딱 한 문장이 와닿았고
    왜 우리가 대한민국 보수를 보수가 아니라 말하는지 알았다..



    보수라는 게 도대체 무엇인가. 국민의 생명과 신체, 그리고 재산,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지키고 유지하는 힘이 아니겠는가. 시스템은 제대로 유지되고 있고, 언제든지 당신을 위해 작동할 것이다. 안심해도 좋다. 지금의 이 사회는 단단하고, 안전하다. 걱정하지 마라.



    누가 국민들을
    공포에 떨게하고
    사지로 내몰며
    사건을 은폐하고 조작하는것을 보수라 말할수 있을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김원일 2014.12.01 8646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7 3871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7 54519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6338
1377 정말 놀기만 해도 될까 흥부 2016.12.29 129
1376 김기춘은 왜 그 목사를 간첩으로 몰았나 조작당 2016.12.27 129
1375 공주 유치원 라벨 2016.12.28 129
1374 미국이 우리 민족을 세 번 배신한 역사적 사실(4) 3 의열 2017.06.26 129
1373 최순실 컴퓨터서 ‘대통령 연설문’ 무더기 발견 1 순실 2016.10.24 130
1372 영화 '핵소 고지(Hacksaw Ridge)' 한국 개봉(2017.2.22)에 즈음하여. "주님, 한 명만 더 한 명만 더" (첨부파일) file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7.02.22 130
1371 육식의 반란3 - 팝콘치킨의 고백 눈장 2017.04.20 130
1370 세월호 리본 구름은 합성이 아니라 진짜였다 하나님의눈물 2017.04.27 130
1369 까만 나라 흰 나라 하주민 2017.06.18 130
1368 한국전쟁 패배의 역사, 바로 ‘이사람’ 때문입니다-어찌 이런 어이없고 황당한 일이... 눈장 2017.06.26 130
1367 가을을 남기고 간 사랑 - 패티김 가을 2016.10.18 131
1366 [가정폭력 OUT②] "가정폭력 사생활 아닌 사회문제..가해자 강력 처벌 뒤따라야" 재림이 2016.12.01 131
1365 대기업 체제가 가져온 재앙 (8) 2 곰솔 2017.01.12 131
1364 하나 되게 하옵소서. 하주민 2017.06.09 131
1363 어떤 푸념 시골생활 2017.09.05 131
1362 예수께서 말씀하신 음식물에 관한 권면? 1 예수안에 2021.01.19 131
1361 나 그렇게 당신을 사랑합니다. 1 다알리아 2021.01.28 131
1360 코비드 백신을 맞았더니! 김주영 2021.02.17 131
1359 해군 "잠수함 가능성 0" vs 자로 "레이더 공개부터" 1 네티즌 2016.12.28 132
1358 박관천이 울고 싶을 거다 시사인 2017.01.12 132
1357 사드해법 솔로몬의 지혜있다 지혜 2017.05.14 132
1356 연습 3 김균 2020.04.09 132
1355 안식일(6) 너희의 도망하는 일이 김균 2020.04.11 132
1354 패배주의는 우리의 적입니다 좋은나라에 사는 것에 감사합시다 김균 2020.08.02 132
1353 2021 문턱에서 김원일 2021.01.19 132
1352 반갑습니다 1 예수따라 2016.10.01 133
1351 트럼프 "힐러리 미는 언론이 선거 조작"…펜스도 "우려" 마작 2016.10.16 133
1350 "박근혜 김정일 4시간 밀담 규명하자" 1 file wlstlf 2016.10.17 133
1349 [서천석의 내 마음속 몬스터] 말하지 않아도 다 알아달라는 아내에게 nut 2016.10.19 133
1348 이제보니.. 나도 피해자 영상 2016.11.05 133
1347 [단독] "개로 바꿔라" 대통령 말에…마스코트 급조 니맘대로 2016.11.09 133
1346 법원, '대통령 퇴진' 집회 청와대 인근 행진 허용. (종합)"그간 보여준 성숙한 시민의식 등 고려, 평화적 진행 예상 가능" 우리 2016.11.12 133
1345 "탄핵 음모" 서울디지텍고 교장, 교내 사이트에도 우파논리 '도배'. 이기범 기자. 1 어리석은자 2017.02.13 133
1344 "트럼프, 사드배치 지연에 격노. 심한 욕설도" 정상회담 2017.06.19 133
1343 (눈장님 보십시요)....5·18 영웅 故 안병하 2 범어사 2017.08.27 133
1342 누가 율법주의자인가? 1 하주민 2017.09.01 133
1341 정의는 죽지 않는다 2 fact 2017.09.04 133
1340 Merry Christmas 1.5세 2018.12.25 133
1339 그릇 이야기 2 fallbaram. 2020.05.10 133
1338 나는 한번씩 환상을 본다 김균 2022.07.13 133
1337 365인 file 감사 2016.10.01 134
1336 내년 1월 사랑의교회서 대규모 '구국' 기도회? 사랑 2016.12.22 134
1335 [카드뉴스] '이화여대 청문회'에 도착한 '감동 문자' 배꽃 2016.12.16 134
1334 사필귀정 (11) 곰솔 2017.01.15 134
1333 삼성-노무현의 홍석현 프로젝트 속지말자 2017.03.19 134
1332 블랙리스트 문예인 2017.06.07 134
1331 신천지, 재림교회 그리고 144000 김균 2020.03.20 134
1330 지난주 교과 질문 들꽃 2020.09.05 134
1329 사마리아 인 1 마시아 2016.09.14 135
1328 공주전(연세대 커뮤니티) 일갈 2016.11.01 135
1327 광화문 분신 정원스님, 이재명 성남시장에게 유서남겨…내용은? 유필 2017.01.10 135
1326 제 19대 대통령 선거 예언 향화사 황순연 보살 - 왜 정치인들은 선거철에 점술가를 찾는가 별이 2017.05.07 135
1325 일본 상공을 조용히 지나간 북한미사일 2 요격기 2017.08.29 135
1324 2021년을 이런 해로 만들어 봅시다. 곽건용 목사 설교 01 김원일 2021.01.26 135
1323 곽건용의 책 이야기-성서의 뜨락을 거닐다 3 김원일 2021.01.31 135
1322 [정리뉴스] 덜미잡힌 최순실과 정유라의 ‘가족 사업’ 전모 친일청산 2016.10.24 136
1321 "하나님 아부지예, 1 아멘 2016.12.01 136
1320 한국경제, 주필 정규재 발언 “실검 오르고 거침 없었다” 자평 논란 2017.01.09 136
1319 한국에 진정한 민주공화국이 탄생하게 되기를 희망합니다. 현실이되기를 2017.03.20 136
1318 민초 사이트 로그인을 회원 아이디로 하도록 고쳤습니다. 2 기술담당자 2016.09.13 137
1317 “박근혜 화법은 베이비토크” 전여옥 어록 재조명 2016.10.27 137
1316 박정희 생가 방화범 상습 유적 테러…조병갑 공덕비, 삼전도비 등도 훼손 2016.12.04 137
1315 [표지이야기] ‘이해할 수 없는 인사’ 비선 의혹 키운다 (정치 2014.12.16ㅣ주간경향 1105호) 12년전 2016.12.11 137
1314 심판(조사심판)에 대하여라 함은 이 세상 임금이 심판을 받았음이요. 광야소리 2016.12.18 137
1313 동북아 한반도의 국운(國運)과 닭우는 소리....해월 황여일의 예언 (해월유록 ) 현민 2016.12.26 137
1312 배부른 괴물의 탄생 (13) 곰솔 2017.01.17 137
1311 [건강한 당신] 늙어서 그런가? 힘도 빠지고 다 귀찮아 … 고기 드시면 좋아져요 행복한삶 2017.05.03 137
1310 오월의 기도 무실 2017.05.27 137
1309 썰전 221회 (www.jtbc.co.kr) SseoL 2017.06.03 137
1308 Oksana Shachko (1987.1.31 ~ 2018.7.23) 무실 2018.07.27 137
1307 곽건용 목사의 책 이야기 01 2 김원일 2021.01.20 137
1306 측근 부패, 국가기관 선거부정, 세월호 참사, 친제국주의 정책, 노동자 ·서민 공격 … 박근혜는 퇴진하라 김원일 2016.10.31 138
1305 [채널A단독]김기춘 “청문회에서 크게 당했다” 하늘나라 2016.12.09 138
1304 이력 보니 김기춘의 일생이 곧 '악의 연대기' 세이튼비카리우스 2016.12.11 138
1303 세월호에 대해 "이젠 그만하자"라고 했던 분들은 이 동영상을 보시고 느끼시는 게 있을 것입니다. 2 바벨론 2017.01.01 13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

Copyright @ 2010 - 2024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