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371 추천 수 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  목사님

 

답글 주셔서 고맙습니다

몇 가지 거론하고 싶어서 따로 글을 올립니다

 

이른바 신 계훈 목사 세대가 저의 세대입니다

저와 동문수학하다가 신 목사는 입대를 하고 형무소를 가고

저는 졸업을 하고 목회를 했어요

그러니 대동소이하게 생각하고 살던 친구입니다

우리는 고지식하고 대총회가 만든 성경 해석에서 한 발자국도 건드리면

지계표 옮기는 못 된 놈으로 치부하던 그런 시절을 살아 왔습니다

우리 시대의 대표적인 다니엘서 해석은 예언의 신 성경통신학교교재였습니다

거기서 조금이라도 다른 소리 내면 능지처참(?)을 당했습니다

 

그 간단한 예로

우리 시대는 144000이 실재수의 시대였습니다

그 당시 아무도 상징이라는 단어조차 입에 담지 않았습니다

어느 날 신학교 4학년 학생이 무슨 집회를 다녀오더니

배웠다면서 아이들을 모아놓고

144000은 상징이란다 이제부터 상징이 되었으니 겁내지 말고 믿어라 하는 겁니다

아마 저들끼리는 144000에 대한 이해가 신천지처럼 고정되어 있어서

144000에 들기 위해 노력하자 하는 화잇의 글에 심취해서

거기 들기 위해 경쟁이라도 하고 산 것처럼 보였습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상징이면 어떻고 실재면 어떠하냐? 이러고 말 일이지만

그 당시에는 실재가 상징이 되면 재림교회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짓이라 판단했습니다

감히 교회를 어지럽히려고 느슨하게 예수 믿으라고 가르친다 였으니깐요

 

교회가 실재가 아니고 상징이라고 가르치려면 확실하게 선을 그어 줘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교회가 단926-27의 한 왕을 로마를 대표하는 사단의 세력에서

그리스도로 바꾸려면 이렇게 어물쩍 넘어가면 옛 사람들은 실망한단 말입니다

우리는 교리건 교리가 아니건 교단이 해석한 것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자랐기 때문입니다

만약 60여년 전 목회할 때 상징이란다 로마가 아니고 예수란다 하고 가르쳤다면

목회직 파문 했을 겁니다

그 당시에는 그렇게 엄격했습니다

보십시오 신 계훈 목사 이 상락 목사는 단9장의 한 왕을 로마라고 해석하잖아요

미제는 예수라고 하는데 국산은 로마라고 해석한단 말입니다

왜냐하면 어릴 적 교단의 경직된 해석이 눈에 박혀 있어서 입니다

 

그런데 저는 옛날에 혼자서 연구해서 로마에서 예수로 바꿔서 해석하고 있었습니다

70이레에 대하여는 혼자서 엄청 연구를 했거든요

그런데 그 앞부분 가지고 싸우느라고 뒷부분을 이야기할 엄두도 못 냈어요

그 대신 이런 연구도 성경연구의 한 부분이요 저런 연구도 한 부분이다라는

저의 생각은 변함이 없습니다

하늘 아래 새 것 없고 인간의 유한한 머리로 만든 교리나 해석은 변한다고 나는 믿거든요

그러나 교단이 세이 박사의 해석을 지지하려면 공식적으로 답을 내 놔야 합니다

우리 세대는 거의가 신 계훈 목사나 이 상락목사의 해석을 배운대로 지지하거든요

그게 쉽게 바뀌지 않을 겁니다

 

목사님처럼 많이 배운 사람은 원문 원문 하시지만

기독교인 가운데 원문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목사님들도 모두가 히브리나 헬라원서를 읽고 바로 해석할 수 있을까요?

물론 저도 사전을 가지고 다니면서 참고 합니다만

원어라는 게 해석학적으로 이리 해석할 수도 저리 해석할 수도 있는 것 아닌가요

그 예를 간단히 들어 드릴께요

개역 성경(재림마을)

너희는 여호와의 책을 자세히 읽어보라

이것들이 하나도 빠진 것이 없고 하나도 그 짝이 없는 것이 없으리니

이는 여호와의 입이 이를 명하셨고 그의 신이 이것들을 모으셨음이라“(34:16)

공동번역성경

야훼의 기록을 찾아내어 읽어 보아라 이런 모든 짐승들이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으리라

그것들은 직접 야훼의 입에서 떨어진 분부를 받아

그의 입김으로 몰려 온 것들이다

 

개역성경(재림마을)

다니엘아 마지막 때까지 이 말을 간수하고 이 글을 봉함하라

많은 사람이 빨리 왕래하며 지식이 더하리라“(12:4)

공동번역성경

너 다니엘아 이 말씀을 비밀에 붙여 마지막 때가 오기까지 이 책을 봉해 두어라

많은 사람들이 읽고 깨쳐 잘 알게 되는 날이 올 것이다 그러나 갈팡질팡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우리가 예수의 죽었다가 다시 사심을 믿을진대 이와 같이 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도

하나님이 저와 함께 데리고 오시리라“(살전4:14)

우리는 예수께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신 것을 믿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예수를 믿다가 죽은 사람들을 하나님께서 예수와 함께 생명의 나라로

데려 가실 것을 믿습니다

 

재림교회 성경 주서처럼 간단한 것 드물 겁니다

 

기름부음을 받은 자. (제임스왕역에는 “Messiah”[메시야]로 되어 있음역자 주).

히브리어 마쉬아흐(masiah.). 동사 마샤흐(masah.), “머리에 기름을 붓다에서

파생한 말이다. 따라서 마쉬아흐는 대제사장(4:3, 5, 16),

이스라엘의 왕들(삼상 24:6, 10; 삼하 19:21), 고레스(45:1) 등과 같이

기름부음을 받은 자를 나타낸다.

테오도티온역은 마쉬아흐를 글자 그대로 크리스토스(christos)로 번역하는데,

이 말은 동사 크리오(chrio-), “머리에 기름을 붓다에서 파생한 것으로

단순히 기름부음을 받은 자를 의미한다.

그리스도라는 호칭은 크리스토스의 음역이다.

후기 유대 역사에서 마쉬아흐라는 용어가 오리라고 기대되던 구원자에게

적용되었다(참조 요 1:41; 4:25, 26).

다니엘은 오랫동안 고대하던 왕 메시야가 정해진 때에 나타날 것을 예언했다.

예수께서 때가 찼고”(1:15; 시대의 소망, 233)라고 선언하신 것은

이때를 언급한 것이었다.

예수께서는 AD 27년 가을에 침례를 받으실 때에 기름부음을 받았다

(참조 눅 3:21, 22; 10:38; 4:18).”(성경주석, 9:25)

 

우리 교단은 왜 오랜 세월 동안 로마나 로마 교황이라고 번역하고 있었을까요?

바로 작은 뿔의 행태에 지나치게 고착되었기 때문입니다

다니엘서의 나쁜 놈은 작은 뿔이어야 한다는 생각

작은 뿔은 모두 로마여야 한다 그게 바로 문제의 시발입니다

결국 우라이야 스미스나 대총회나 대학의 학자들이 해석한 것을

100여년 이상 고집하며 가지고 있었는데 이젠 그럴 시대가 아니니

바꾸는 것 아닌가요?

요즘 졸업하는 젊은 세대는 모두 셰이 박사나 스테파노비치교수의 해석을 믿지요

내가 20여 년 전부터 그럴 거라고 이 게시판에서 이야기 하고 있었어요

목사님도 이젠 그걸 정설로 인정하기 시작했군요

교단의 공식적인 거론 없이 학자의 글로 모든 게 바꿔지는 시대가 왔습니다

따라와라 하지만 우리는 불만이 많습니다

어떤 것은 싫은데도 따라야 하고 어떤 것은 아닌데도 따라야 하는

웃기는 연구의 시대가 온 겁니다 위에서 말한 성경절 대로

많은 사람들이 읽고 깨쳐 잘 알게 되는 날이 올 것이다

그러나 갈팡질팡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라는 말씀이이루어 진다는 말입니다

 

저는 그런 해석상 연장선상에서 어떤 것은 교리를 안 건드렸으니 괜찮고

어떤 것은 교리를 건드렸으니까 출교를 시켜야하고

또 어떤 것은 말 하든가 말든가 안식일에 교회만 잘 나오고 십일금만 잘 내면

건전한 재림교인이 되는 그런 시대가 왔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겁니다

데스몬드 포드 박사가 이런 글 써도 되는가? 하고 문의했을 때

교리 건드리면 교수직 박탈한다고 으름장 놨어야 했습니다

그 일로 얼마나 많은 교인들이 교단과 이별을 했나요?

교단의 크나큰 실수 입니다

 

 

 

 

 

  • ?
    달수 2020.06.22 19:38

    답답하신 인간이시군요. 144000은 상징수입니다 그러나 실제수라고도 나는 믿습니다. 실제로 하늘에 가보니 144000이라면 어쩔 것입니까? 소프라노 파트 3600, 알토/테너/베이스 파트 3600. 그러면 144000, 아주 적당하지요. 그리고 그게 상징수이든 실제수이든, 구원과는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교단이 망하느냐 성하느냐 하는 문제와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둘 중 어느 것을 믿든, 그것만큼은 이설도 아니고 아무 것도 아닙니다. 교리는 수정되고 발전된다고 교회는 말합니다. 사실 144000 문제는 교리도 아니지요. 단순한 성경 이해이지요. 나는 그저 밥 먹고 할 일 없으면 장난이나 치라고 하나님이 지어주신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야곱은 왜 아들을 13명이나 11명도 아니고 정확히 12명을 낳았을까요? 예수님은 왜 39일도 아니고 41일도 아니고 정확히 40일 금식하셨을까요? 교황권은 왜 1259년도 아니고 1261일도 아닌, 정확히 1260년간 전성했을까요? 성소 정결은 왜 2299주야도 아니고 2301주야도 아닌, 정확히 2300 주야에 이를 때에 이루어진 것일까요? 144000 문제를 갖고 교단을 비판하는 사람은 머리가 비뚤어져도 아주 비뚤어진 사람입니다. 그런데 "우리 교단은 왜 오랜 세월 동안 로마나 로마 교황이라고 번역하고 있었을까요?"라는 말이 무슨 말입니까? 어느 구절(단어)를 로마 교황이라고 번역("해석"이 아닌지??)한다고 질문하시나요? 작은 뿔은 교황권이 맞는데, 뭐가 잘못되었나요? 그게 바뀌면 교회가 없어지고 망해야 하는 것은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김원일 2014.12.01 8648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7 38714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7 54520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6338
253 제21회 미주재림 연수회 file 새벽별 2017.02.20 100
252 제가 먹는거 좋아합니다. 하지만 6 이상해 2017.04.14 249
251 제국(요셉, 솔로몬)과 반-제국(다니엘) (19) 곰솔 2017.01.24 142
250 제목도 없는 글 3 소나무 2018.02.11 335
249 제발 ! 먹지 마시오 소나무 2018.02.26 267
248 제비뽑기를 해서 내가 2017.04.22 146
247 제안 4 fallbaram. 2016.09.07 297
246 제야의 기도_김교신 무실 2023.12.31 325
245 조사심판 4 못난쟁이 2021.11.25 1312
244 조사심판 172년 - 무엇이 문제인가 13 김주영 2016.10.22 382
243 조사심판 그리고 재림 전 심판 2 김균 2019.03.08 611
242 조사심판 반대편에서 들려오는 설교 한 조각 1 김원일 2017.01.02 311
241 조사심판? 뭣이 중헌디 1 꼴통 2016.10.22 201
240 조사심판과 진화론 6 fallbaram 2017.09.24 277
239 조사심판을 왜 두려워하고 왜 부정하고 왜 없애려하고 왜 아니라고 하는가? 10 재림성도 2016.10.14 186
238 조사심판의 참된 의미 바르게 이해하자. 2 광야소리 2016.12.03 208
237 조사심판이 나에게 의미없는 이유.. 19 무지랭이 2016.12.23 379
236 조선일보 “최태민과 내연 관계로 동거” 왜 삭제했나 3 시사인 2016.11.04 395
235 조선일보가 바로 '적폐'다 적폐 2017.05.08 72
234 조선일보가 박근혜 대통령을 버린 이유 촟불 2016.10.29 253
233 조용필 - 그대 발 길 머무는 곳에 발길 2017.04.02 146
232 조용한 이동네에 첫눈이 온다구요 3 jacklee 2018.02.09 310
231 조중동의 ‘반동’이 시작됐다. [김종철 칼럼] ‘주권자혁명’으로 진화하는 ‘촛불혁명’에 재를 뿌리려는가 반동 2016.12.11 156
230 조폭의 수난시대가 온다 개봉박두 2016.11.06 187
229 존경하는 성술장로님께 드리는 고언 10 김균 2017.06.25 427
228 좀 .. 기분나뿐 그림 이지만 4 영적 치매 2016.10.19 221
227 종교적 부역자들 7 file 김균 2016.11.18 401
226 종말론에 관한 단상 - 세상의 종말이 아닌 악의 종말 (추) 5 아기자기 2016.10.24 217
225 좋다! 2 박희관 2020.03.21 202
224 좋아 할때가 있으면 미워 할때가 있고 이제 시작 2016.12.21 99
223 좋은글과 차한잔하는 여유 1 마음파동 2017.10.18 197
222 좌파와 중산층 2 산울림 2017.01.20 168
221 죄 짓는것은 법칙이다. 바이블 2018.09.21 181
220 죄, 구원, 조사심판, 거리의 정의 5 김주영 2016.12.23 215
219 죄를 모르면서 의를 논하지 말라. 광야소리 2016.12.07 131
218 주4일 근무제 2 file 김균 2021.02.06 293
217 주님 오시기 전에 무슨 일이 일어나겠습니까? file 김균 2021.01.06 149
216 주례사 15 김균 2016.09.27 347
215 주의 기도문 속 "죄"와 "빚": 김균 선배님께 2 김원일 2017.03.09 294
214 주일과 안식일 못난쟁이 2021.05.18 265
213 죽고 사는 문제- 흑사병-페스트 김균 2020.03.27 133
212 죽어서 천국 가는 것만 복음인가 1 낮은데로 2016.11.18 197
211 죽여주는 여자 화녀 2016.10.15 160
210 죽은 시인의 시가 산 사람의 삶을 바꾸어 놓다. 무실 2018.05.22 222
209 죽음, 그 뒷처리 사후 2017.08.02 148
208 죽음도 사기 치는 시대 4 인생마감 2016.10.05 253
207 죽일 놈 3 김균 2016.11.17 464
206 줏어온 글 미래 기별 2017.05.07 128
205 지갑속의 배우자 8 김균 2016.09.30 297
204 지경야인 송박영신 촛불문화제를 다녀왔다 7 지경야인 2017.01.04 270
203 지구 7바퀴 반... 동해바다 2017.01.24 92
202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고통받는 아이들 그리고 그것을 믿지 않겠다는 트럼프 3 무실 2017.03.03 154
201 지금 대한민국을 소리없이 움직이는 5-5-5를 아시니요? 애국 2017.02.23 225
200 지금은 상상조차 할 수없는 품격있는 대담 - 손석희 노무현 - 사람들 2016.11.19 169
199 지금이 어느때인데 선지자라니 5 fallbaram. 2017.09.29 300
198 지난 시절 아재개그 하나 아재 2017.10.01 197
197 지난주 교과 질문 들꽃 2020.09.05 136
196 지리산 천왕봉 7 file 김균 2016.11.03 444
195 지진에도 가만히 있으라, 학생들 분노 1 생 사 2016.09.12 163
194 지팡이가 되어 소나무 2017.11.27 273
193 진드기(응애)는 왜 동물에게 자꾸 달라 붙을까요? 셋째천사 2017.09.28 256
192 진리는 언제나 인기가 없다. 본능적인 욕망을 버려야 하기 때문이다. 3 눈뜬장님 2017.01.02 176
191 진보와 보수라고 자칭하는 분들께 김균 2020.04.13 159
190 진설병과 안식일 1 지경야인 2016.10.09 212
189 진실 논쟁 4 김균 2016.09.11 329
188 진정 존경하고픈 두 분 목사님! 2 노루모산 2018.10.30 484
187 진주님에게 6 fallbaram 2016.09.08 259
186 진짜 보수란? 3 보수 2017.01.08 140
185 진화에 관한 로댕의 생각 2 fallbaram. 2017.09.25 149
184 질병을 통한 인류감축이 시작되었다!!몬산토 제약회사 빌게이츠의 마수에 한국은 점령됐다!! 3 눈장 2017.09.13 210
183 짐승의 수는 666 혹은 616 인가? 들꽃 2019.03.17 223
182 짐승이 많이 나타남 1 빛과 어둠 2016.10.04 171
181 집안이 콤콤한 냄새로 진동을 한다. 24 file soeelee 2016.09.25 546
180 집창촌의 특징 9 김균 2016.09.10 319
179 짜장면 두그릇 곱배기 2017.02.17 159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

Copyright @ 2010 - 2024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