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특사단 만난 김정은 첫마디 "남측 어려움 이해한다" - 청와대가 밝힌 대북 특사단 1박 2일 이모저모

김윤나영 기자    2018.03.08 16:41:55

 

http://www.kasda.com/index.php?mid=board_MTnR99&document_srl=531890

 

 

특사단 만난 김정은 첫마디 "남측 어려움 이해한다"
청와대가 밝힌 대북 특사단 1박 2일 이모저모
2018.03.08 16:41:55
 
특사단 만난 김정은 첫마디 "남측 어려움 이해한다"
next_btn.png
facebook.png
twitter.png
kakaostory.png
band.png
scrap2.png
print.png
big.png
small.png
topbtn2.png
print3.png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등 대북 특사단이 지난 5일 평양에서 묵은 숙소인 고방산 초대소에서 한국 방송과 드라마 채널뿐 아니라, 전 세계 방송 채널 수십여 개를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또 네이버, 다음 등 국내 포털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서 국내 뉴스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었다고 한다. 

대북 특사단이 느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 대한 이미지는 "솔직하고 대담하다"는 것이었다. 김정은 위원장은 한국 언론이나 외국 언론을 통해서 보도된 자신에 대한 평가나 이미지에 대해 무겁지 않은 농담을 섞어서 말하는 여유를 보이기도 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또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7월 발표한 '베를린 선언'부터 이후 한반도와 관련한 구상이나 메시지를 소상히 알고 있었다고 한다.  

대북 특사단은 5일 평양에 도착하자마자 15분도 안 돼서 "오늘 김정은 위원장과 만난다"는 언질을 받았다. 선대의 관례를 볼 때, 방북 마지막 날에야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리라고 예상했던 대북 특사단의 예상을 깨는 파격이었다. 김정은 위원장이 특사단을 만나 처음 꺼낸 말은 "남측의 어려움을 잘 이해한다"는 것이었다. 두 번째 파격이다. 청와대가 풀어놓은 1박 2일 간의 방북 일정 뒷이야기를 일지 형식으로 풀어봤다. 
 
art_1520493269.jpg

ⓒ청와대


북측, 앉자마자 바로 "김정은 만난다" 통보  

대북 특사단은 3월 5일 오후 2시 20분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해 오후 3시 40분 숙소인 '고방산 초대소'에 짐을 풀었다. 숙소에 짐을 풀고 나니 북한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이 찾아왔다. 김영철 부장이 앉자마자 '오늘 김정은 위원장과 만찬이 있다'고 통보했다. 첫째 날은 실무진 간의 줄다리기를 거치고, 김정은 위원장은 이튿날에야 만나리라는 대북 특사단의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한 특사는 김정은 위원장 만찬을 통보받는 순간 "야, 일이 잘 풀리겠구나"라는 느낌을 받았다고 회고했다.  

고 김정일 국무위원장 때만 해도 대북 특사단이 방북하더라도 김정일 위원장은 맨 마지막 날에 만나는 것이 관례였다. 청와대 또한 지난 2월 김여정 특사 등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남한을 방문했을 때, 실무 회담을 먼저 했고 문재인 대통령과 언제, 어디에서 만날지 미리 알려주지 않았다고 한다. 반면에 김정은 위원장은 '실무 회담'을 뛰어넘고 바로 접견에 나선 것이다. 이후 대북 특사단이 밝힌 6개 항에 대한 발표문이 김정은 위원장의 접견에서 나왔다. 

1. 김정은 "남측의 어려움 잘 알고 있다, 이해한다" 

특사단은 북측이 제공한 리무진 차량을 타고 조선노동당 본부에 도착했다. 남측 인사가 조선노동당 본부에 초대받은 것은 최초다. 차에서 내려 건물 현관 위치를 파악하려 하는데, 차에서 내리자마자 바로 몇 미터 앞에 김정은 위원장과 김여정 제1부부장이 마중을 나왔다고 한다. 두 사람의 마중으로 접견 장소로 이동한 정의용 수석 대북 특사는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갖고 왔습니다. 전달하겠습니다"라고 말하며 일어섰다. 맞은편에 있던 김정은 위원장이 마주 일어나서 친서를 받았다.  
 
art_1520493275.jpg

▲ 정의용 수석 대북 특사가 지난 5일 평양에 있는 조선노동당 본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있다. ⓒ청와대


정의용 수석 특사는 김정은 위원장에게 어떤 얘기를 꺼낼지 수첩에 빼곡히 적어갔다. 하지만 접견을 시작하자마자 김정은 위원장은 "남측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다, 이해한다"고 말하며 말문을 열었다.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 운전자론'이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강경론에, 대내적으로는 보수 야당의 강경론에 난항을 겪고 있음을 우회적으로 짚은 셈이다. 대북 특사단으로서는 의외의 반응이었다.  

정의용 수석 특사는 "'한미 연합 군사 훈련 중단이나 재연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우리 측 입장을 설명하려고 준비했는데, 그럴 필요가 없었다"고 말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평창 올림픽을 위해 연기된 한미 연합 훈련을 예년 수준으로 진행하는 것을 이해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다. 김정은 위원장과 접견한 지 1시간 만에 남북은 6개항에 대한 발표문을 바로 조율했다. 특히 "핵은 흥정의 대상이 아니"라던 김정은 위원장은 '한반도 비핵화'의 뜻을 밝히며 전향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 특사는 "정권 출범 직후부터 지난한 과정 거친 남과 북의 노력이 빛을 발하는 순간이었다"고 회고했다.  

사전 조율 없이 1시간 만에 '한반도 비핵화 의지', '4월 말 판문점에서 남북 정상회담 개최' 등을 포함한 6개 항목을 합의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 청와대는 "6개 항목은 김여정 특사가 지난 2월 10일 청와대를 방문했을 때 문재인 대통령이 다 얘기한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이 숙제를 던졌는데, 어떤 반응이 나올지 모르는 상태에서 정의용 수석 특사가 다시 한 번 그 얘기를 꺼내러 평양에 갔는데, 말하자면 북측은 답안을 미리 준비해놓은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6개 항목에 대한 사전 조율은 없었다는 얘기다. 

2. 김여정과 리설주의 환대  

접견을 마치고 대북 특사단은 바로 옆 방에 있는 만찬장으로 이동했다. 김정은 위원장과 김영철 부장이 먼저 나가고, 특사단이 10분 정도 쉰 뒤 만찬장으로 이동하자, 이번에는 김정은 위원장이 부인 리설주를 대동하고 맞이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특사단과 악수하며 인사를 나눴다. 만찬 테이블에는 와인, 수삼주 등이 나왔다. 김정은 위원장은 처음에는 와인 한 잔을 하고, 평양소주를 마셨다고 한다.  

특사단은 북한에서 '화려하고 극진한 환대'라기보다는 '세심하고 정성어린 대접'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김여정 특사단이 방한했을 때 남측에서는 "평양 냉면이 최고라던데 맛보고 싶다"고 지나가듯 말하거나, "평양식 온반(평양식 국밥)은 어떤 음식이냐"라는 질문을 했는데, 북측은 그 말을 기억해뒀다가 냉면과 온반을 대접하는 세심함을 보였다. 대북 특사단과 구면인 김여정 제1부부장은 "북한 음식이 입에 맞습니까"라고 물으며 챙겨줬다고 한다. 
 
art_1520493463.jpg

▲ 대북 특사단이 지난 5일 평양 조선노동당 본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찬을 하고 있다. ⓒ청와대


3. 경호와 숙소  

만찬이 끝난 뒤 대북 특사단은 '국빈급 경호'를 받았다고 한다. 특사단은 고방산 초대소의 한 층에 묵었는데, 경호원들은 양쪽 출입구만 지킬 뿐 안에는 들어오지 않으며 특사단이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숙소에 머무는 특사단은 1층에 커피를 마시러 가거나, 울타리가 쳐진 초대소 밖에 나가서 산책을 했지만 간섭받지는 않았다. 

고방산 초대소에는 필요한 것들이 잘 준비돼 있었다. KBS, MBC, YTN, 드라마 채널, 미국 CNN, 중국 CCTV 등 전 세계 방송 채널 수십여 개를 볼 수 있었다. 또 네이버, 다음 등 국내 포털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서 대북 특사단은 국내 뉴스를 실시간으로 검색했다. 

4. 냉면 두 그릇  

이튿날인 3월 6일, 특사단은 오전 11시부터 김영철 통일전선부장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장 등과 실무 회담을 이어갔다. 점심으로는 평양 옥류관에서 냉면을 먹었다. 김영철 통전부장은 "원래 평양 인민들은 냉면을 두 그릇씩 먹는다"면서 더 먹을 것을 권유했다. 이에 한 특사는 "이미 녹두지짐을 많이 먹었는데, 평양 냉면 두 그릇을 먹었다"고 한다. 평양 냉면은 꿩으로 육수를 낸 뒤 닭으로 국물을 우려내는 방식으로 오래 끓인 육수여서 남한의 평양 냉면과 맛이 달랐다고 한다. 이후 특사단은 숙소로 돌아와 짐을 싸고 청와대로 돌아왔다.
기사를 끝까지 읽으셨다면…

인터넷 뉴스를 소비하는 많은 이용자들 상당수가 뉴스를 생산한 매체 브랜드를 인지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온라인 뉴스 유통 방식의 탓도 있겠지만, 대동소이한 뉴스를 남발하는 매체도 책임이 있을 것입니다. 
관점이 있는 뉴스 프레시안은 독립·대안언론의 저널리즘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저널리즘에 부합하는 기사에 한해 제안 드립니다. 이 기사에 자발적 구독료를 내주신다면, 프레시안의 언론 노동자, 콘텐츠에 기여하는 각계 전문가의 노고에 정당한 보상이 돌아갈 수 있도록 쓰겠습니다. 프레시안이 한국 사회에 필요한 언론이라고 생각하신다면,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3,000₩5,000₩10,000₩30,000₩50,000
 
+1,000원 추가+10,000원 추가
 원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10020_1442278067_42x45.jpg
김윤나영 기자 dongglmoon@pressian.com 구독하기 최근 글 보기
기획팀에서 노동 분야를 담당하며 전자산업 직업병 문제 등을 다뤘다. 이후 환자 인권, 의료 영리화 등 보건의료 분야 기사를 주로 쓰다가 2015년 5월부터 정치팀에서 일하고 있다.

 

 
 
 

 


  1.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Date2014.12.01 By김원일 Views8644
    read more
  2.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Date2013.04.07 Byadmin Views38705
    read more
  3.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Date2013.04.07 Byadmin Views54511
    read more
  4. 필명에 관한 안내

    Date2010.12.05 Byadmin Views86336
    read more
  5. 하나님의 은혜

    Date2017.10.19 By전죄인입니다 Views178
    Read More
  6. 악플에 시달리다가 이곳을 떠난 누리꾼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이 누리 등록제로 바뀝니다. 필명 허용은 물론 계속 유지합니다.

    Date2017.10.19 By김원일 Views305
    Read More
  7. 어떤 신학생이 내게 보낸 문자

    Date2017.10.19 By김원일 Views462
    Read More
  8. 회원등록과 로그인 사용자 글쓰기 권한에 대해 알려 드립니다.

    Date2017.10.19 By기술담당자 Views430
    Read More
  9. 가을노래

    Date2017.10.22 By소나무 Views191
    Read More
  10. 이 친구 혹시 안식교인? ^^ Shabbat의 정신을 엘렌보다 더 잘 파악한 사람

    Date2017.10.22 By김원일 Views431
    Read More
  11. 10월은 목사님 감사의 달입니다.

    Date2017.10.24 By무실 Views274
    Read More
  12. 아무리 멍청한 목사의 멍청한 설교라도...

    Date2017.10.24 By김원일 Views418
    Read More
  13. 안식교를 떠나거나 아니면 적어도 잠시 좀 멀리 벗어나보고 싶은 그대에게--수정 (조회수 22 이후)

    Date2017.10.24 By김원일 Views553
    Read More
  14. 독일 안식교 연합회장들과 한국 안식교 연합회장

    Date2017.10.28 By김원일 Views553
    Read More
  15. 블랙호크다운

    Date2017.10.29 By소나무 Views150
    Read More
  16. “인공지능도 시(詩)를 쓸 수 있을까?”

    Date2017.10.29 By소나무 Views247
    Read More
  17. 세상의 모든 아침

    Date2017.10.29 By소나무 Views234
    Read More
  18. 애자

    Date2017.10.31 By소나무 Views165
    Read More
  19. 인간의 길흉화복에 하나님께서 관여를 할까요? 안 할까요?

    Date2017.10.31 By돈키호테 Views406
    Read More
  20. 외국여성들도 눈물 흘린다는 "대한민국 전통 북춤의 화려함"

    Date2017.11.03 By백향목 Views222
    Read More
  21. 광화문에 가서 트럼프 엿 먹여야 하는 "Prophetic" 이유

    Date2017.11.04 By김원일 Views246
    Read More
  22. [부고] 고 육영화 집사님 장례일정

    Date2017.11.05 By1.5세 Views355
    Read More
  23. 여자의 길 - 고 육영화 어머님 추모의 글

    Date2017.11.23 By육일박 Views464
    Read More
  24. 모든것 감사해

    Date2017.11.24 Byfmla Views246
    Read More
  25. 지팡이가 되어

    Date2017.11.27 By소나무 Views271
    Read More
  26. 육신의 일과 영의 일 그리고 비트코인 ( 조회수 49후 수정)

    Date2017.12.02 By무실 Views436
    Read More
  27. 안식교인들 구약 잘 안다며? 이런 주제로 설교하는 안식교 목사 있는가? 그의 발에 입맞추리...

    Date2017.12.16 By김원일 Views463
    Read More
  28. 우리는 왜 구약을 읽는가

    Date2017.12.16 By김원일 Views261
    Read More
  29. 밤새 안녕들 하십니까?

    Date2017.12.17 By김주영 Views620
    Read More
  30. 참새 방아간

    Date2017.12.19 By소나무 Views383
    Read More
  31. 왜 꼭 그렇게 끝냈어야 했나?

    Date2017.12.21 By김주영 Views514
    Read More
  32. 메리 크리스마스

    Date2017.12.23 By1.5세 Views298
    Read More
  33. 쓸데없는 잡념들

    Date2017.12.29 By김균 Views466
    Read More
  34. 모두들 건강한 새해 되세요

    Date2018.01.01 By김균 Views181
    Read More
  35. 나만의 축복에 만족하는 사람들

    Date2018.01.01 By김균 Views309
    Read More
  36. 만화 속에서 살았던 나날들

    Date2018.01.07 By김균 Views410
    Read More
  37. 내게 이런 질문을 한다면 ?

    Date2018.01.08 By소나무 Views279
    Read More
  38. 유투브 퍼오기

    Date2018.01.10 By김균 Views306
    Read More
  39. 예수께서 죄지을 가능성 과 불가능성

    Date2018.01.14 By소나무 Views235
    Read More
  40. 유다는 용서받을 수 있는가?

    Date2018.01.14 By소나무 Views457
    Read More
  41. 잡초와 화초

    Date2018.01.14 By소나무 Views390
    Read More
  42. 신과 함께-죄와 벌-

    Date2018.01.14 By김균 Views463
    Read More
  43.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지키기

    Date2018.01.20 By무실 Views230
    Read More
  44. 민초를 다시 생각한다

    Date2018.01.20 By김주영 Views753
    Read More
  45. 나 혼자 서 있는 게 아니구먼

    Date2018.01.22 By김균 Views357
    Read More
  46.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

    Date2018.01.25 By김균 Views610
    Read More
  47. “큰 동풍으로“ 부는 바람

    Date2018.02.06 By김균 Views495
    Read More
  48. 조용한 이동네에 첫눈이 온다구요

    Date2018.02.09 Byjacklee Views304
    Read More
  49. 제목도 없는 글

    Date2018.02.11 By소나무 Views331
    Read More
  50. 재림마을 어플과 새 찬미가

    Date2018.02.11 By김균 Views1002
    Read More
  51. 평창 올림픽 NBC 망언 이후 우연히 눈에 띄는 글

    Date2018.02.11 By소나무 Views392
    Read More
  52. 50%의 구원과 99%의 구원

    Date2018.02.19 By김균 Views453
    Read More
  53. 그사람

    Date2018.02.23 Byfmla Views364
    Read More
  54. 내 삶의 현장에서의 신앙

    Date2018.02.25 By소나무 Views265
    Read More
  55. 제발 ! 먹지 마시오

    Date2018.02.26 By소나무 Views262
    Read More
  56. 동고동락

    Date2018.02.26 By김균 Views388
    Read More
  57. 최재영목사의 김일성과 안식교

    Date2018.02.26 By지경야인 Views995
    Read More
  58. 청산이 소리쳐 부르거든

    Date2018.03.08 By김균 Views259
    Read More
  59. 특사단 만난 김정은 첫마디 "남측 어려움 이해한다" - 청와대가 밝힌 대북 특사단 1박 2일 이모저모

    Date2018.03.08 By녹색세상 Views457
    Read More
  60. 여성의 날 원조

    Date2018.03.09 By김원일 Views246
    Read More
  61. 미투가머길레!

    Date2018.03.12 Byfmla Views262
    Read More
  62. 단일민족의 자부심과 배달민족 DNA의 우수성을 과시하고 싶은 그대들에게 보내는 National Geographic 잡지의 편지

    Date2018.03.14 By김원일 Views309
    Read More
  63. 미투(Me Too) 1편 당하는 자의 고통 - 별것 아닌가?

    Date2018.03.16 By버디 Views202
    Read More
  64. 미투(Me Too) 참여 2편 우린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Date2018.03.16 By버디 Views385
    Read More
  65. (사)평화교류협의회[CPC]. <그리스도의 생명과 평화> 시각의 장년 안교교과 해설 (첨부파일)

    Date2018.03.19 By녹색세상 Views230
    Read More
  66. 2018년 3월 31일(토) 제1기 제13과 청지기 직분의 결실(The Results of Stewardship)(3.25일-3.30금) 장년교과 기억절(아래아한글, MS Word)

    Date2018.03.28 By녹색세상 Views467
    Read More
  67. 북한은 미국과 중국이 원하는 걸 안다 [ 최성흠의 문화로 읽는 중국 정치 ] 북미관계 변화는 북중관계의 변화

    Date2018.03.29 By녹색세상 Views183
    Read More
  68. 남북, 오는 4월 27일 정상회담 개최 합의 - 장소는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의제 추후 협의

    Date2018.03.29 By녹색세상 Views173
    Read More
  69. 한 나라로 함께 사는 세상 <연재> 오인동의 ‘밖에서 그려보는 통일조국’ (1)

    Date2018.04.01 By녹색세상 Views236
    Read More
  70. 10만 명 돌파한 백악관 청원 서명, 응답하라 트럼프! -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촉구, 25일 만에 10만 서명 넘어

    Date2018.04.09 By녹색세상 Views188
    Read More
  71. 우리를 대신하여 - 우리 민족의 이름으로

    Date2018.04.14 By녹색세상 Views194
    Read More
  72. 2018년 4월 7일(토) 제1기 제1과 마지막 때를 위한 준비(Preparation for the End Time)(4.01일-4.06금) [아래아한글] [MS 워드]

    Date2018.04.14 By녹색세상 Views143
    Read More
  73. 2018년 4월 14일(토) 제1기 제2과 다니엘과 마지막 때(Daniel and the End Time)(4.08일-4.13금) [아래아한글] [MS 워드]

    Date2018.04.14 By녹색세상 Views181
    Read More
  74. 이 글 읽은 김에 일회용 컵 많이 사용해도 되겠다

    Date2018.04.17 By김균 Views254
    Read More
  75. 특별한 미투-이런 것도 미투에 들어간다니 ...

    Date2018.04.17 By김균 Views345
    Read More
  76. 2018년 4월 21일(토) 제2기 제3과 예수님과 계시록(Jesus and the Book of Revelation) (4.15일-4.20금) [아래아한글] [MS 워드]

    Date2018.04.17 By녹색세상 Views215
    Read More
  77. 미투가 잡는 생사람, 그리고 또 다른 생사람.

    Date2018.04.21 By김원일 Views353
    Read More
  78. 죽은 시인의 시가 산 사람의 삶을 바꾸어 놓다.

    Date2018.05.22 By무실 Views219
    Read More
  79. 자녀들이 절대로 들어서는 안될 말들!

    Date2018.05.30 By버디 Views19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

Copyright @ 2010 - 2024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