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신앙과 삶의 괴리

 

교회에 관한 여론 조사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 것이 ‘신앙과 삶의 괴리’였다.

조사 결과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리라고 생각한다.

그동안 필자도 다양한 사람들과 만남을 가지면서 그 결과에 도달하게 되었다.

그런데 ‘신앙과 삶의 괴리’라는 표현에는 동의하고 싶지 않다.

그 말은 신앙은 좋은데 삶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들리는데, 사실 그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어떻게 신앙 좋은 사람이 삶은 엉망일 수 있겠는가?

물론 야고보서에서 ‘행함이 없는 믿음’에 대해 말씀하고 있지만, 그것도 따지고 보면

그런 믿음은 좋은 게 아님을 가르치기 위해서 하는 말이다.

엄밀히 말해, 신앙과 삶에 괴리가 있을 수 없으며 그런 표현은 적절치 않은 것이다.

한국 교회의 현실을 제대로 표현한다면 ‘종교적 삶과 일상적 삶의 괴리’라고 하는 것이 정확하다.
그렇게 구별해 놓고 한국 교회의 현실을 본다면, 둘 사이의 괴리는 정말 심각하다.

언젠가 검사 생활을 오래 하신 분으로부터 아주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었다.

한 은행원이 은행돈을 횡령한 사건을 조사했는데 횡령한 돈을 추적하던 중에 꽤 많은 액수를 교회 재정에서 발견했다고 말했다.

나중에 알고 보니, 그 은행원이 횡령한 돈의 십일조를 정확하게 교회에 바쳤다는 것이다.

그 이야기를 들으면서 어떻게 그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하는 탄식이 절로 나왔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 보니, 그것이 좀 극단적인 예가 되긴 하지만

실제로 그와 비슷한 일들을 하는 크리스천들을 얼마든지 만나볼 수 있다.
그렇게 된 것은 물론 당사자의 신앙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게 된 데는 목회자들의 책임도 없지 않다고 생각한다.

신앙 생활을 예배당 중심의 종교적 영역으로 제한시켜 생각한 것 자체가 문제의 뿌리라고 할 수 있다.

지금도 신앙 생활을 잘 하느냐는 질문을 하면, 그것은 으레 교회 출석이나 헌금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사람에 따라서 개인적 경건 생활까지도 염두에 두긴 하지만 그 이상으로 확대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의 신앙 생활은 믿음이 기초가 되는 모든 영역을 포함해야 정상적이다.

그러므로 그 질문은 ‘가정에서 생활이 신앙에 기초하고 있느냐?’

‘자녀들을 양육하는데 신앙적으로 하느냐?’

‘직장 생활이나 재정 문제도 신앙이 기초가 되느냐?’라는 질문으로 바꿔야 한다.

‘신앙 생활을 잘 하느냐?’라는 질문은 아주 포괄적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의 신앙 생활은 일상에서
그런데 언제부턴가 교회에서 신앙 생활을 가정 생활이나 직장 생활과 대조되는 교회 안의 종교 활동이나 개인의 경건 생활로 축소시켜 생각하게 되었다.

그래서 종교 활동이나 경건 생활은 신앙의 범주에 들어가지만, 일상은 신앙의 범주에 들어가지 못하고 성도 개인이 알아서 하는 삶의 범주로 여기게 되었다.

교회에서 가르침은 종교 활동이나 경건 생활에 관련된 것으로 집중되고 일상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느냐는 문제는 성도들 개인에게 맡겨지고 말았다.
그러니까 요즘 우리의 삶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출산이나 자녀 교육과 관련해 관심 사항을 처리하는 것을 보면 그야말로 신앙인으로서 차별성을 찾아보기 어렵다.

사람들은 저마다 유교 전통에 따라 살기도 하고 주변의 세속적인 풍조에 따라 살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종교상 세상과 구별이 되지만, 일상에서 세상과 크게 다를 것이 없는 삶을 살고 있다.

그것을 ‘신앙과 삶의 괴리’라고 표현한다.
언젠가 자신의 직업과 관련해 고민하는 분의 상담을 받은 적이 있다.

상담을 하면서 이런 문제를 교회 목사님에게 상담하지 않느냐고 물었더니, 그런 문제로 목사님과 이야기하기 어렵다고 했다.

일단 목사님이 그런 문제에 관심이 없을 것 같고, 또 질문해 봤자 대답해 줄 것 같지 않다는 것이었다.

그 분은 목사님의 관심사와 능력에 대해 이미 결론을 내리고 있는 것 같았다.

그래도 그 분은 고민이 되었기에 그 문제를 털어 놓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런 문제로 고민하지 않고 있으며 혹 고민하더라도 혼자서 처리해 버린다.

그래서 ‘신앙과 삶의 괴리’라는 것이 생겨난다.

목회자가 일상에 관심을 가져야
이제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목회자들이 종교적 경건 생활에 관심을 갖는 것만큼 일상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그 문제를 신앙적으로 고민하도록 가르쳐야 한다.

일상의 문제에 대해 항상 분명한 대답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생활의 문제로 함께 고민하는 과정은 있어야 한다.

그런 고민을 하는 것 자체가 ‘신앙과 삶의 괴리’를 좁혀 주는 길이 된다.
물론 목회자들이 일상의 문제에 대해 신앙에 근거한 대답을 해주기란 쉽지 않다.

우리의 신학 교육이 그렇게 준비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신학이 목회자들의 목회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성도들의 생활 문제를 신앙적으로 살도록 하는데 도움을 줘야 하는데, 그저 신학자들의 전공 과목으로 축소해 버리기 쉽다.

그러다 보니 신학을 공부했지만 삶의 문제에 대해 신학적 안목을 갖추고 가르치거나 구체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신앙과 삶의 괴리’ 문제를 풀기 위해 신학의 관심사가 일상의 문제로 확대돼야 한다.

한마디로 사람들이 살아가는 문제에 대해 신학적 관심을 갖고 신학적 대답을 찾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 책상과 교단을 떠나 실제적인 삶을 찾아나서는 신학자들이 필요하다.

로버트 뱅크스는 그런 신학자를 ‘사도적 신학자’, ‘맨발의 신학자’라고 부른다.

맨발의 신학자로 서라
한국 교회가 ‘신앙과 삶의 괴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학자들이 전공에 관계없이 일상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성경적이며 신학적인 해답을 찾아나서야 한다.

그것이 목회 현장에 있는 목회자들에게 목회의 지침도 되고 성도들을 돕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물론 목회자도 관심을 갖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 과정에서 일상을 사는 성도들의 피드백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성도들이 삶에서 일어나는 문제들로 거리낌 없이 질문하고 그것에 대해 성경적인 대답이 오가며, 혹시 완벽한 대답이 없더라도 함께 고민하는 과정이 있을 때 ‘신앙과 삶의 괴리’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 - 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김원일 2014.12.01 8666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7 38738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7 54612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6363
1380 세상 사람들이 예측하는 2020~2049년까지 미래에 일어날 일들 12 눈뜬장님 2016.10.16 258
1379 재림교회의 조사심판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 보는 문제들-3-(2009.0902) 입장 곤란하니 또 댓글 안 달거지? 8 김균 2016.10.16 234
1378 돈 쳐X는 목사님들 5 증인 2016.10.16 360
1377 트럼프 "힐러리 미는 언론이 선거 조작"…펜스도 "우려" 마작 2016.10.16 142
1376 강아지 1 동물농장 2016.10.16 111
1375 강아지2 1 동물농장 2016.10.16 179
1374 이번 미국 대선의 중요성 9 눈뜬장님 2016.10.16 269
1373 비겁한 차별의 교회 500원 2016.10.16 207
1372 국가에 대한 자부심, 우리는 결코 가질 수 없는 이유 1 Ariane 2016.10.17 136
1371 전쟁을 일으키기 위해 자작극을 벌이는 행위는 옛날부터 써먹던 고전적인 수법이었다. 눈뜬장님 2016.10.17 196
1370 관리자님, 게시판 글들을 복사해서 다른 게시판에 붙이려고 하는데 3 블라블라 2016.10.17 199
1369 재림교회의 조사심판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 보는 문제들-4-(이젠 자신이 없어서들 댓글 안 달지?20090904) 2 김균 2016.10.17 240
1368 이번 대선의 중요성과 일요일 휴업령? 7 꼴통 2016.10.17 344
1367 hm4 님 4 김원일 2016.10.17 301
1366 "박근혜 김정일 4시간 밀담 규명하자" 1 file wlstlf 2016.10.17 135
1365 재림마을에서 가져옴. 법대로 한다면(재림신문 편집장을 응원하며) 사마리안 2016.10.18 355
1364 의정부지방검찰청 소속 임은정 검사 1 양심 2016.10.18 187
1363 '독단과 불통'이 문제로다, 오뚜기 2016.10.18 154
1362 가을을 남기고 간 사랑 - 패티김 가을 2016.10.18 137
1361 이런 사람은 <갑자기 죽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2 예언 2016.10.18 396
1360 하늘에는 2 김균 2016.10.18 218
1359 가엾은 너무나 가엾은 노무현 6 시사인 2016.10.18 227
1358 '주사거배'(酒肆擧盃) 1 산울림 2016.10.19 235
1357 좀 .. 기분나뿐 그림 이지만 4 영적 치매 2016.10.19 237
1356 한국 보수우파의 위기와 정체성의 붕괴 153 2016.10.19 233
1355 김영란법 교계도 조심해야 한다 1 부합 2016.10.19 131
1354 [서천석의 내 마음속 몬스터] 말하지 않아도 다 알아달라는 아내에게 nut 2016.10.19 141
1353 정혜신은 왜 '사람 공부'에 매달렸을까 <정혜신의 사람 공부>를 읽고 1 속시원한사람 2016.10.19 252
1352 신혼여행서 신부 ‘생얼’ 보고 이혼 요구한 남성 4 생생 2016.10.20 352
1351 단언컨대-이대근 3 김균 2016.10.20 251
1350 이상구 박사의 기사 1 참고인 2016.10.20 466
1349 내가 믿고픈 '조사심판' 이 어떤 것인가 3 전용근 2016.10.20 270
1348 이 문장 번역좀 해 주세요 2 번역기 2016.10.20 247
1347 금 과 흙 현실 2016.10.20 123
1346 동물 공화국 현실 2016.10.20 162
1345 아 가을인가! 9 fallbaram 2016.10.21 266
1344 옥한흠목사별세-평생 제자훈련에 헌신한 옥한흠 목사(동영상) OK 2016.10.21 162
1343 故 恩步 옥한흠 목사 3주기 추모사 홍정길, 이만열, 손봉호 OK 2016.10.21 138
1342 조사심판 172년 - 무엇이 문제인가 13 김주영 2016.10.22 387
1341 성경 으로 주장 했다면 성경으로 대답 했을것이다. 4 박성술 2016.10.22 277
1340 생각있는 재림교인들이 조사심판의 허구성을 깨닫기를... 3 진리샘 2016.10.22 229
1339 오늘이 10월 22일이니까 특별히 마지막으로 6 김주영 2016.10.22 300
1338 조사심판? 뭣이 중헌디 1 꼴통 2016.10.22 212
1337 재림교회의 조사심판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 보는 문제들-5-(20090904) 김균 2016.10.23 177
1336 10월 22일만 지나고 나면 생각나는 것들(20081221) 5 김균 2016.10.23 188
1335 계속되는 기도력의 말씀에 안타까운 마음이... 4 고바우중령 2016.10.23 197
1334 저의 길을 가겠습니다 2 김균 2016.10.23 337
1333 당신들의 글을 보면서 십자가의 강도를 생각함 4 fallbaram 2016.10.23 252
1332 박정희의 비서실장이 말하는 박근혜-최태민 관계 비사 태자 2016.10.23 192
1331 글세요 11 어렵습니다 2016.10.23 257
1330 박대통령, 대선 앞 개헌 추진 노무현엔 “참 나쁜 대통령” 다카키마사오 2016.10.23 105
1329 [속보] 박대통령, 돌연 개헌 추진 공식화 “임기내 완수” 2 다카키마사오 2016.10.23 142
1328 흑인들은 우범자 5 file 김주영 2016.10.24 230
1327 [정리뉴스] 덜미잡힌 최순실과 정유라의 ‘가족 사업’ 전모 친일청산 2016.10.24 142
1326 일용 할 양식. 16 박성술 2016.10.24 298
1325 <쉼터>님이 올린 동영상의 내용은 <허위사실>입니다. 2 예언 2016.10.24 258
1324 <육식>하고 싶으면 <금식기도>해서라도 끊으세요 예언 2016.10.24 115
1323 점잖은 동네에서는 도통 반응이 없어서 4 김주영 2016.10.24 359
1322 나는 그림책이 좋더라 9 file 김주영 2016.10.24 334
1321 최순실 컴퓨터서 ‘대통령 연설문’ 무더기 발견 1 순실 2016.10.24 133
1320 안철수 "노무현 '참 나쁜 대통령'이라던 박근혜, 최순실 덮으려는 의도" 분권 2016.10.24 115
1319 갑작스런 개헌 주장의 배경은 뭘까? 개헌 2016.10.24 79
1318 시정연설 내내 불안함 보인 대통령 개헌 2016.10.24 150
1317 종말론에 관한 단상 - 세상의 종말이 아닌 악의 종말 (추) 5 아기자기 2016.10.24 224
1316 "최순실이 박대통령에 이래라저래라 시키는 구조" 1 닭양 2016.10.25 73
1315 서울대 교수들이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하는 성명을 조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하야촉구 2016.10.25 149
1314 박찬종 “여야 국회의원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절차 착수하라” 탄핵착수 2016.10.25 187
1313 이것을 위하여 소비한 돈은 낭비한 돈보다 더 나쁩니다 2 예언친구 2016.10.25 163
1312 JTBC "최순실 PC 더 충격적 진실, 8시 뉴스룸서 공개" 실체 2016.10.25 154
1311 박는혜는 왜 최태민(최순실) 가족 곁을 떠나지 못하나.... 무당 2016.10.25 201
1310 류효상의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2016년 10월 25일 화). 우리를 둘러싼 국내외 주요 이슈 & 촌평 노란풍선 2016.10.25 125
1309 NASA의 화성 탐사, 사실인가? 조작인가? 눈뜬장님 2016.10.25 115
1308 [월드 이슈] 중국·바티칸 수교 급물살… 13억 복음시장 ‘노크’ 2 예언 2016.10.25 174
1307 '박근혜는 이런 사람'...전여옥이 말하는 박근혜 7 친일청산 2016.10.25 244
1306 "나쁜 대통령은 자기 위한 개헌한다" 노무현의 무서운 예언? 유산균 2016.10.25 12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

Copyright @ 2010 - 2024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