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 15시간 일한다는 게 왜 비현실적인 거죠?”

등록 :2017-10-22 13:10수정 :2017-10-22 13:19

  • 페이스북
  • 트위터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뤼트허르 브레흐만 인터뷰]
20일 오전 서울 가회동 김영사에서 <한겨레>와 만난 <리얼리스트를 위한 유토피아 플랜>의 저자 뤼트허르 브레흐만은 “노동시간이 긴 한국이야말로 노동시간 단축을 할 여지가 많은 나라”라며 “생산성 전문가들은 주당 90시간씩 일한 애플 직원들이 그 절반만 일했다면 더 높은 성과를 냈을 것이라고 말한다”고 전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20일 오전 서울 가회동 김영사에서 <한겨레>와 만난 <리얼리스트를 위한 유토피아 플랜>의 저자 뤼트허르 브레흐만은 “노동시간이 긴 한국이야말로 노동시간 단축을 할 여지가 많은 나라”라며 “생산성 전문가들은 주당 90시간씩 일한 애플 직원들이 그 절반만 일했다면 더 높은 성과를 냈을 것이라고 말한다”고 전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인류는 미래의 어느 시기부터 하루 3시간씩 주 5일만 일하며, 보편적인 기본소득을 받고, 국경이 없는 세계에서 살 수 있다. 이것은 유토피아로 여겨지나, 역사상 어느 때보다 실현이 가능해진 계획이다.’

 

이런 급진적 주장이 담긴 책이 세계적인 반향을 낳고 있다. 채 서른살이 되지 않은 낯선 저자의 책인데도 현재 25개국에 출판(예정)되어 있고, 모두 15만부가량 팔렸다. 스티븐 핑커와 지그문트 바우만이 극찬한, 이 책의 저자를 지난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북촌의 김영사에서 만났다. <리얼리스트를 위한 유토피아 플랜>(김영사)을 쓴 뤼트허르 브레흐만(29)이다.

 

브레흐만은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한 뒤에 “박사 학위를 얻기 위해 중요하지도 않은 주제에 대해 4년씩이나 지루한 공부를 하며 시간을 낭비할 순 없다”며 언론계로 발을 내디뎠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언론사에서 1년간 일하다, 2013년 지인이 ‘코레스폰던트’(기자, 특파원 등의 뜻)라는 비영리 저널리즘 플랫폼을 시작하면서 브레흐만에게 급여를 주며 뭐든지 쓰고 싶은 대로 쓸 수 있는 자유를 줬다. 그때 쓰기 시작한 글이 모여 만들어진 것이 바로 이 책이다. 그는 “이 저서도 일종의 기본소득으로 얻은 자유가 있었기에 나올 수 있었다. 기본소득은 모든 사람을 위한 벤처 투자 같은 것이다. 사람에게서 창조성을 끌어내준다”고 말했다. 인세의 절반은 코레스폰던트로 가서, 자신과 같은 다른 청년들에게 자유롭게 글을 쓸 기회를 준다. 또 인세의 많은 부분은 케냐와 우간다에서 현금으로 기본소득을 주는 ‘기브다이렉틀리’라는 단체에 돌아간다.

 

 

저서 ‘리얼리스트를 위한 유토피아’에
보편적 기본소득·국경 철폐 등 주장

“도움안되고 무가치한 일 줄이면
더 창조적인 일이 역량 쏟을 수 있어”

 

 

브레흐만과는 사뭇 다르게 기본소득에 회의적인 <사피엔스> <호모 데우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의 주장으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지난 7월 같은 출판사의 초청으로 방한한 하라리 교수는 국가 내 기본소득으로는 국가 간 불평등을 해결할 수 없다며 “핀란드 국민이 자국민의 기본소득을 위해서 세금을 더 걷는 데는 동의할지 모르지만, 방글라데시 국민까지 돕는 데는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관해 묻자 브레흐만은 “하라리는 기본소득 전문가가 아니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 이민자에게 투표권을 지급하거나, 복지 혜택을 주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사람들이 본성적으로 이렇게 저렇게 행동한다는 말에는 경계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무조건적인 기본 소득은 빈곤을 퇴치하는 가장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적인 방법이고, 사람들이 사회에 기여할 기회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역사상 가장 불평등한 사회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하라리의 비관적인 미래 전망에 대해서도 브레흐만은 날을 세웠다. 하라리는 기술의 발달로 인간 노동자와 군인의 필요성이 떨어지면, 통치 엘리트들은 의료와 복지제도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브레흐만은 “역사가들이 미래에 관해 이야기할 때 독자들은 회의적인 자세를 취해야 한다. 가능하다고 믿지 않으면 불가능하나, 믿으면 현실이 된다는 점에서 인간은 놀라운 존재다. 1%가 로봇을 소유하고 나머지는 노예나 그보다 나쁜 것이 된다는 디스토피아 시나리오가 있지만, 반대로 유토피아 시나리오가 있다. 과거에 노예제 폐지나 성평등은 유토피아적이라고 했지만 우리는 해냈다. 기본소득에 대해서도 최근 몇 년간 갑자기 논의가 쏟아져 나오고 실험도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급진적인 비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더 나은 사회로 갈 수 있는 가능성조차 없어진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선진국, 특히 한국의 노동시간(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2위)이 불필요하게 길다고 지적했다. 그는 “영국 노동자의 37%, 특히 은행가, 변호사 같은 사무직들이 자신들의 하는 일이 무가치하다고 생각한다는 조사가 있었다. 지구상에서 가장 똑똑한 인재들이 실리콘밸리에선 고작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광고를 클릭하게 할까를 고민하고, 월스트리트에선 파괴적인 금융상품을 설계하는 일을 한다. 이런 공공선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일을 줄이고, 사람들에게 여가를 주면 가족을 돌보거나 더 창조적인 일을 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그의 주장 중에서 가장 급진적인 건 국경을 없애자는 제안이다. 그는 “매우 장기적으로 실현해나가야 하는 제안인 것은 맞지만 국경을 열수록 경제는 성장하고 빈곤은 줄어들 것이다. 이민자들이 테러나 범죄를 저지르고 게으르다는 것은 왜곡된 생각이다. 이민자들은 도전정신이 강하고, 사회에 더욱 기여한다. 역사적으로도 적극적으로 국경을 연 나라들이 번영을 누려왔다”고 말했다.

 

이번 책의 성공으로 3, 4년간 경제적 자유를 얻은 그는 2년 뒤에 두꺼운 새 책을 낼 예정이다. 새 책에 대해 그는 “사람들이 문명이란 외피는 매우 얇기 때문에 전쟁이나 재난이 일어나면 곧 동물적 본성이나 괴물 같은 모습이 나타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인간의 본성은 선하며 서로 이런 믿음을 가져야 기본소득이나 더 많은 사회보장제도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는 내용을 쓸 것”이라고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한국이나 일본은 위계적 문화가 강해서, 젊은이들은 잘 목소리를 내지 않는데, 정작 나이가 들면 할 이야기가 없어져버린다. 한국의 젊은이들이 좀더 적극적으로 글을 쓸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지훈 기자 watchdog@hani.co.kr

출처: 한겨레신문

 


  1. No Image notice by 김원일 2014/12/01 by 김원일
    Views 8619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 No Image notice by admin 2013/04/07 by admin
    Views 38680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3. No Image notice by admin 2013/04/07 by admin
    Views 54466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4. No Image notice by admin 2010/12/05 by admin
    Views 86300 

    필명에 관한 안내

  5. 이상구의사는 왜 성경을 안믿으시나요?--김원일이 삭제했음.

  6. 이상구박사님께서 보시면 도움이 되는 글

  7. 이상구박사님께서 말씀하셨던 <무조건적 사랑>은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8. 이상구 박사의 기사

  9. 이사야와 무당 (끝줄 수정)

  10. 이사야여, 이사야여, 채빈 님이여, 채빈 님이여...

  11. No Image 12Apr
    by 빌립보
    2019/04/12 by 빌립보
    Views 161 

    이사야 53장의 노래

  12. 이분법에 능한 사람들이 오히려 상대를 이분법으로 논한다

  13. 이번 미국 대선의 중요성

  14. 이번 대선의 중요성과 일요일 휴업령?

  15. 이박사, 도대체 왜 그런 말을 하는 것일까?

  16. 이박사 님께 돌직구 질문 드립니다. 좋은 답변 부탁 드립니다.

  17. 이박사 님, 민초1 님, 아무래도 제가 잘못 쓴 것 같습니다.

  18. 이명박, 독도 기다려달라 '매국 발언' 사실로 확인!

  19. No Image 11Dec
    by 세이튼비카리우스
    2016/12/11 by 세이튼비카리우스
    Views 125 

    이력 보니 김기춘의 일생이 곧 '악의 연대기'

  20. 이럴땐 어찌 해야 하나요 ?

  21. 이런 소리도 계속하면 교리가 된다

  22. 이런 사람은 <갑자기 죽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3. 이런 사고를 가진 우리 장로님은 어떤 신앙을 하고 계실까? 

  24. 이런 남자와 결혼하기 싫다

  25. 이런 기독교인도 있다

  26. 이대로는 절대 안 된다는 님께

  27. No Image 08Dec
    by 거문도
    2016/12/08 by 거문도
    Views 91 

    이게 청문회지! 유시민, 김경진 의원의 정보를 뽑아내는 질의

  28. 이것을 위하여 소비한 돈은 낭비한 돈보다 더 나쁩니다

  29. No Image 14Dec
    by 김균
    2016/12/14 by 김균
    Views 395 

    이것도 나라냐? 깡패집단이지

  30. 이건 또 뭐야?

  31. 이 친구 혹시 안식교인? ^^ Shabbat의 정신을 엘렌보다 더 잘 파악한 사람

  32. 이 여자가 헬조선을 헬조선이라고 부르는 이유

  33. No Image 29Apr
    by 김균
    2022/04/29 by 김균
    Views 177 

    이 세상은

  34. 이 세상 풍파 심하고

  35. 이 상구(2)

  36. 이 문장 번역좀 해 주세요

  37. 이 목사의 설교

  38. No Image 07Dec
    by 에라디요
    2016/12/07 by 에라디요
    Views 172 

    이 동영상을 보고 박수를 칠 수 있다면... 그대는 행복한 사람. 이거 19금이라고 따지고 들면 당신은 진리가 뭔지를 모르는 사람^^

  39. 이 동네에 드나드는 웃기는 사람들 이야기들에서

  40. 이 누리 이름 바꾸기: minchosda.com-->minchoquest.org

  41. 이 남자가 화장실을 못 간 이유.....에라이! 몹쓸 박가야!

  42. No Image 17Oct
    by 산 사람
    2017/10/17 by 산 사람
    Views 240 

    이 글이 우리 목사님들께도 해당됩니까?

  43. 이 글을 시비걸거나 빈정거리는 것으로 보지 마시고 한번 읽어 봐 주세요.

  44. No Image 17Apr
    by 김균
    2018/04/17 by 김균
    Views 248 

    이 글 읽은 김에 일회용 컵 많이 사용해도 되겠다

  45. 이 글 읽고 반성해야 할 사람들도 있지 않을까요.

  46. 이 곳 민초 방에 드나드는 사람들아, 최휘천 목사 "율법" 꼭 들으시라!

  47. No Image 27May
    by fallbaram.
    2024/05/27 by fallbaram.
    Views 67 

    의학상식

  48. 의정부지방검찰청 소속 임은정 검사

  49. 의의 기별을 거절하므로 둘째천사기별선포결과

  50. 의식주

  51. No Image 11Nov
    by 의리
    2016/11/11 by 의리
    Views 94 

    의리(義理) 있는 사람

  52. No Image 11Dec
    by 광야소리
    2016/12/11 by 광야소리
    Views 108 

    의를 알지 못하면서 심판을 말하지 말고...

  53. No Image 25Dec
    by 무실
    2018/12/25 by 무실
    Views 279 

    은퇴에 대해

  54. 은퇴 후 가장 나빠지는 것은 '자식과의 관계'

  55. No Image 26Sep
    by 붕붕
    2017/09/26 by 붕붕
    Views 84 

    은밀하게 꼼꼼하게 각하의 비밀부대 (그것이 알고 싶다 1094회 20170923 )

  56. 율법주의 결국은 안식일 옹호

  57. 율법이신 하나님

  58. No Image 30Jun
    by 하주민
    2017/06/30 by 하주민
    Views 139 

    율법의 개념(槪念)

  59. 율법을 지키려고 노력하지 말고 믿으시면 어떨까요?

  60. 율법에서 일점일획도 결코 없어지지 아니하고 마침내 다 성취되리라

  61. 율법속에서도 일곱째 날보다 더 크던 여덟째의 날

  62. 율법과 율법주의, 완전과 완전주의자를 혼돈하는데서 오는 곡해와 극단주의

  63. 윤동주 - ' 십자가'

  64. No Image 31Oct
    by 친일청산
    2016/10/31 by 친일청산
    Views 200 

    육영수와 문세광

  65. 육신의 일과 영의 일 그리고 비트코인 ( 조회수 49후 수정)

  66. No Image 20Apr
    by 눈장
    2017/04/20 by 눈장
    Views 109 

    육식의 반란3 - 팝콘치킨의 고백

  67. No Image 20Apr
    by 눈장
    2017/04/20 by 눈장
    Views 150 

    육식의 반란-마블링의 음모

  68. 육덕의 정석

  69. 육군 대장 가족의 노예로 전락한 공관병 .

  70. 유행가쯤은 듣고 부를 줄 알고 그것에 '울었다' 정도는 해야 율법에서 벗어난 자유인들이 되는 것인가?

  71. 유투브 퍼오기

  72. 유투브 닥터 김 (김주영 박사) 건강 TV 개설

  73. No Image 06Jun
    by 정숙씨
    2017/06/06 by 정숙씨
    Views 138 

    유쾌한 정숙씨

  74. 유치한 논쟁

  75. 유일하게 지킨 공약

  76. No Image 02Dec
    by 국민
    2016/12/02 by 국민
    Views 174 

    유시민이 통역한 '박근혜 속내', 이보다 적확하긴 어렵다

  77. No Image 10Jun
    by 크리스찬
    2017/06/10 by 크리스찬
    Views 87 

    유시민이 살면서 가장 분노한 두가지 "이명박과 세월호"

  78. No Image 26Oct
    by 캡신
    2016/10/26 by 캡신
    Views 146 

    유시민이 말하는 박근혜

  79. No Image 15Jan
    by 예측
    2017/01/15 by 예측
    Views 99 

    유시민의 탁월한 분석력 - 2년전 우병우에 대한 해박한 분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

Copyright @ 2010 - 2024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