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38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378383D58B4672F181541

 

 

 

1960년대 후반과 70년대 초에 '고전 거꾸로 읽기'가 한창 유행 했었다. 그 전까지는 대부분이 학교나 가정에서 배운 대로 전해 내려오는 고전 이야기를 전해주는 교훈의 틀에 맞추어 주어진 정답을 찾듯이 읽었고, 항상 그 이야기가 주는 교훈은 불변의 정답 마냥 늘 정해져 있었다. 그 교훈이라는 것은 이조시대부터 일제시대, 그리고 군사독재를 거치면서 권력자들에 의해 인위적으로 조성된 유교의 탈을 쓴 삼강오륜(三綱五倫)으로 포장되었다. 그런 일부의 고전들을 통해 왜곡된 충성, 효행, 열행를 고취시켜 기득세력의 권력과 권위를 확고히 하는 기본 틀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특히 70년대 초 유신독재의 정점에서의 저항이 정치.사회적으로 분출될 때 문학에서도 그 지적 저항의 일부분이 '고전 거꾸로 읽기'로 표출되었다. 이는 기존의 고정관념화 되고 강요된 윤리 의식의 재점검이며, 이전까지 의심 없이 당연한 걸로 받아들이던 평가의 척도를 깨는 파격(破格)으로 나타난다.

 

 

257E814458B46863103F30

 

 

이는 사회적 가치관과 인식의 변화로 지금은 널리 알려진, 니체의 해체의 망치질이며, Thomas Kuhn의 'Paradigm shift, 페러다임의 전환'이고, Viktor B. Shklovsky(스틀롭스키)의 'Defamiliarization, 낯설게 하기'의 시작이었다. 

 

"이것은 확립된 기존의 평가의 틀 안에 이질적 기준을 밀어 넣는 것이고, 이전까지 누구나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상식 안에 다른 생각을 밀어 넣는 것이며, 또한 기존의 사물이나 생각들이 들어서 있는 자리들을 흩어서 새로운 분포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들의 귀와 눈과 머리에 익숙해진 '낯익은' 모습에서는 볼 수 없었던 감추어진 '낯설은' 새로운 모습을 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존의 격을 깨는 '파격(破格)', '페러다임의 전환', '낯설게 하기'는 기존의 고정된 관념과 사상을 해체시키고 새로운 사상이나 예술의 시작을 알리는 창작의 기본 요소이다. 이는 창작뿐 아니라 독해(讀解)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로인해 철학에는 새로운 사상을, 미술에서는 새로운 화법을, 사진에서는 새로운 구도를, 과학에서는 새로운 발견과 발명을, 그리고 종교에서는 새로운 깨달음을 가져다준다.

 

"기존의 전통과 상식이 대신 생각해 주기를 멈출 때, 사물을 보는 익숙한 틀을 벗어난 것들과 만날 때, 그 틀이 와해되기 시작할 때 비로소 우리가 스스로 생각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파격의 고전 읽기> 이진경) 이는 고전 문학이나 예술 또는 철학에서 뿐만이 아니라 성경 읽기(신학)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은 한 개인이나 사회를 한 단계 성숙한 구성원이나 신앙인으로 거듭나는 과정의 꼭 필요한 요소일 것이다.

 

 

220DFD4258B468B71E3745

 

 

그 한 예로서, 심청전은 '효행(孝行)'의 교과서로 불릴만한 한국의 고전이다. 앞을 못 보는 부친을 향한 딸 심청의 목숨을 내어 놓는 효심은 한국인이면 누구나 어려서부터 최고의 효행으로 배웠을 것이다. 지금도 곡성에서는 매년 심청 축제가 열리고, 백령도에서는 심청의 '효비(孝碑)'가 설치되어 있다.

 

자, 그러면 <심청전>의 'Paradigm shift', '낯설게 하기'의 '파격'은 다음의 질문으로 시작해 보자.

 

딸이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자신을 바다에 던져질 제물로 몸을 판다면 그것을 "효도"라할 수 있을까? 자식의 목숨과 바꾸어 눈을 뜬다(병을 낫는다)해서 "효"를 느끼는 부모가 있을까? 그런 일을 당한 부모는 행복할까? 불행할까? 그것은 오히려 불효 아닐까? 진정 '효'의 최대치를 위해서라면 죽지 않고 해결을 해야 진정한 '효'아닐까? 심청의 '효행'이 목숨을 바칠만한 절대적인 (칸트의 '정언명령'적) 가치인가? 아니면 오히려 엽기적이고 잔인한 반인륜적인 행동 아닌가? 과연 이것이 누구에게나 장려할만한 "효행(孝行)"인가? 하는 점이다.

 

"심청은 왜 부친을 행복하게 하기 위해서 부친을 말할 수 없이 큰 불행에 빠트려야 했을까?" -<심청전에 나타난 비장과 골계> 조동일, 1999-

효를 위해 불효를 하는 심청의 이런 '효이기를 중단한 효'라는 이율배반적인 선택의 이야기는 왜 쓰여 졌고 장려되어 왔을까?

 

"'효'라는 도덕적 목적을 위해 '죽음'이나 '인신매매'라는 비도덕적 방법을 선택하는 '효로써 효를 상하게 하는 도덕적 딜레마'가 발생한다. -<효녀 심청의 서사적 탄생과 도덕적 딜레마> 최기숙, 2003-

 

이런 이율배반이나 딜레마에도 불구하고 쓰여지고 널리 읽히도록 장려한 것은 당대의 지배층(성인 남성 권력층)이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이율배반을 절대복종의 미덕으로 미화시키고, 도덕적 딜레마를 삼강오륜으로 포장하여 미화시키려는 기만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점이다. 

 

 

210DEC4258B469371F9BF1

 

 

그런 점에서는 성경 읽기에도 동일한 면이 있다. 신의 가면을 쓰고 불의와 차별에도 절대복종을 강요하는 남성 성직자들의 그 신의 뜻과 이율배반적인 독선적 성서해석 말이다. 그러나 이런 이율배반과 도덕적 딜레마는 다른 외적 요소로 포장해도 결코 해소되지 않고, 단지 은폐될 뿐이다.

 

다음 질문은 눈 뜬다는 보장도 없는데 목숨을 바쳐야 하는 무조건적인 효행과 허벅지 살을 베어 고깃국을 끓이고, 손가락을 잘라 뼈를 고아 바치는 엽기적인 효행, 그리고 죽은 남편에게 정절을 지키기 위해 목을 매어 죽은 며느리를 기리는 열녀비를 세워 장려하는 -<삼강행실도>, 이런 잔인하고 엽기적이며 부당하고 반인륜적인 잘못된 사회 통념의 이야기가 과연 고전 저자들의 원래의 저술 의도이었을까? 하는 점이다. (성경의 경우는 어떠한지 생각해 보기를 바란다.)

 

 

2119683A58B46A08135C2C

 

 

작가가 의도적으로 숨겨 논, 또는 작가가 부여하지 않은 의미를 읽어 내는 독서 방법을 루이 알튀세르(Althussr / Balibar, <자본론을 읽다> 1991)는 '징후적 독해, Symtomatic reading'라 부르고 그 필요성을 강조했다.

 

"증상 이면에 감추어진 상처(trauma)'같은 중심의 의미를 찾아내어 이미 정량화된 이론이나 해석으로는 보이지 않았던 역설적인 의미를 찾아내는 독해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페러다임의 전환이나 '낯설게 하기'와도 같은 맥락이다. 이는 또한 "비유가 아니면 아무 것도 말씀하지 않으셨"(마13:34)던 예수의 화법에 대한 독법이기도 하다.

 

이런 관점에서 다시 보는 심청전의 이율배반적인 이야기 뒤에 숨어있는 (작가가 의도하고 숨겼던지, 아니면 전혀 의도하지 않았던지) 의미를 찾아보면 이 딜레마를 푸는 열쇠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심청은 자신을 수양딸로 삼겠다며 쌀 300석을 내어 주겠다는 승상부인의 제안을 거절했다. 그러면서 하는 말이 "부모를 위해 공을 드릴 양이면 어찌 남의 명분 없는 재물을 바라며, 쌀 300석을 도로 내어주면 뱃사람들 일이 낭패이니 그 또한 어렵고, 남에게 몸을 허락하여 약속을 정한 뒤에 다시 약속을 어기는 것은 못난 사람들이나 하는 짓이니 그 말씀을 따르지 못하겠습니다." -<심청전, 완판본> 정하역 역주- 하며 거절했다. 사실 뱃사람과의 약속 때문에 양녀로 삼겠다는 승상부인의 제안을 거절하고 자신의 목숨을 내어 놓는다는 것은 부자연스럽고 이해하기 어려운 진행이다.

 

이런 일면 억지스러워 보이는 진행은 어쩌면 심청이 죽음으로 항변하는 당대의 '효'에 대한 부당한 반인륜적 사회적 통념에 대한 고발이 이 소설의 감추어진 의도 아닐까 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심청이 인당수의 심연으로 가지고 뛰어 들었던 것은 당대의 부당하게 강요당하던 부조리한 가치관의 절단이고 고발 아닐까? <파격의 고전> 이진경, 2016

 

여기에서 우리는 기독교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인당수에 뛰어든 심청의 행위에서 그리스인으로의 거듭남을 선언하는 침례와의 유사점이 있음을 알게 된다. 우리가 거듭나기 위해 물에 잠기는 침례는 과거 우리의 삶을 지배하고 강요하던 부조리하고 이기적인 가치관의 절단이며 고발인 것이다.

 

 

230CCC3B58B46A56131BBA

 

 

다른 하나는 연꽃 속으로 부활한 심청이 아버지가 있는 집으로 가지 않고 왕에게 시집을 간 이유이다. 징후적 독해법의 새로운 시각으로 보면 부활한 심청이 과거의 집으로 돌아가지 않은 것은 과거의 잘못된 관습과 가치관으로 돌아가지 않고  바로 잡고자하는 강력한 메시지 아닐까? 이는 침례로 거듭난 그리스도인이 돌아가야 하는 곳은 과거의 고정관념과 가치관이 아니라, 새로운 관습과 법칙이 적용되는 그리스도의 신부의 신분으로 살아야 하는 것과 같은 지점이리라!

 

성령으로 거듭난다는 것은 수 천 년 동안 남성 성직자들이 해석하고 만들어 전해준 '무조건 복종하라'의 이율배반적인 전통과 왜곡된 문자주의, 근본주의, 율법주의에 물음표를 던지고 물속에 수장시킴으로 강요된 맹종에서 벗어나, 직접 왕과 대화하며 올바른 하나님의 섭리를 찾고 진리 안에서 사는 새로운 삶일 것이다. 그럴 때 하나님의 말씀이 수 천 년 전에 굳어 화석화된 죽은 말씀이 아니라, 비로소 오늘 바로 지금 나에게 살아 있는 생명의 말씀이 될 것이다!

 

사실 부모님의 은혜란 쉽게 갚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비록 돌아가신 부모님이 다시 살아 돌아오신다 해도 말이다. 나의 모든 시간과 재물을 내어 놓고 내 목숨과 허벅지 살과 손가락을 삶는다할지라도 말이다. 하나님의 은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스도인이 무엇을 한들 예수님의 십자가의 공로와 하나님의 은혜를 갚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부모님의 은혜를 갚는 방법이 딱 하나가 있다. 그것은 부모님께 받은 은혜만큼, 내 자신이 올바로 살고 내 자녀들에게 올바르게 살도록 잘해 주는 것이다. 그리고 내 자녀나 내 가족 뿐 아니라 이웃과 사회에 베푸는 삶을 사는 것이다. 이것 이외에 부모님의 은혜를 갚는 다른 길은 없을 것이다!

 

 

2439664058B4734A2086A6

 

 

하나님의 은혜를 갚는 유일한 방법도 마찬가지 아닐까? 받은 (달란트) 만큼, 깨달은 (분량) 만큼 내 자신이 하나님의 뜻에 맞게 올바로 살고, 내 자녀와 가족과 이웃 그리고 역량이 되는 데로 타인과 원수에게도 마찬가지로 사랑으로 대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지극히 작은 자에게 나누고 사랑하는 것이다. 베고픈 이를 만나면 먹이고, 목마른 이에게 마시게 하고, 헐벗은 이를 입히며, 갇힌 이에게 자유를 찾아 주기 위해 같이 싸우고 그 고난에 동참해야할 것이다. 왜냐하면 사회적 약자인 지극히 작은 자가 곧 예수요, 그들에게 하는 것이 곧 하나님의 은혜를 갚는 것이기 때문이다.(마 25: 31-46)

 

이것이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은혜 갚는 법이고 '예수의 사랑법' 아니겠는가? 또한 이것야말로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거룩한 삶이며, 생명의 삶이고, 영생의 길이 될 것이다. '야베스의 기도'처럼 내 가족, 내 이웃뿐 만이 아니라, 남의 이웃과 원수 된 이들에게까지 사랑의 지경을 멀리 넓히고, '오병이어의 나눔의 기적'을 이 땅에서 누리는 거듭난 심청이의 삶, 성령 충만한 생명의 삶을 사시길 기원한다.

 

심청이가 바다에 빠져 목숨을 바쳐서도 단 한 명의 부친인 심봉사의 눈을 뜨게 할 수 없었지만, 거듭난 새로운 신분으로 전국의 모든 장님들을 잔치에 초대하고 같이 나눌 때, 드디어 오병이어의 기적이 일어나 모두를 먹인 것같이 모두의 눈을 뜨게 한 것이다!

 

   

 

 

 

 

  • ?
    김원일 2017.02.28 07:14
    브라보!
    매 구절구절 동의하는지는 좀 더 생각해 봐야 알겠지만, 이런 창의적 독해는 우리의 영혼을 분명 살찌게 합니다.
    감사합니다.
  • ?
    Rilke 2017.02.28 22:14
    좋은글 감사합니다.

    살을 붙이면 좋은 소논문이 되겠네요.

    cheers,
  • ?
    Windwalker 2017.03.01 00:25
    제가 아기자기님과 같은 분들의 글 때문에 여기를 잊지 않고 들립니다.

    그런데 아기자기님은 재림교인 맞습니까?
    지난 20여년간 제 활동 범위가 넓은 데도 불구하고
    그동안 님과 같은 분들을 전혀 만나보지 못했습니다.

    제가 깜짝 놀란 것은 마지막 문단의 내용을
    성령의 은사에 대한 과정공부 시간에
    달란트의 비유까지 100% 같은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그렇다고 제 반생은 아닌 것 같은데...
  • profile
    아기자기 2017.03.01 02:11
    이런 글 여기서 누가 좋아할까? 하여 안 올리려다가도,
    Windwalker님과 같이 부족한 글에 공감을 표해주시는 분들 때문에
    물만 먹으러 왔다가도 세수까지 하고 가곤 합니다^^

    제가 더 놀란 건 다음 글이 달란트의 비유와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인데,
    어떻게 알아 맞추셨지요?? ㅎㅎ,
    (올릴까 말까 생각 중입니다..)
    역시 통하는 게 있나 봅니다^^
    감사합니다!
  • ?
    김주영 2017.03.01 01:14
    "효" 라는 단어에 대한 마땅한 영어 번역이 없고
    효는 우리 민족이 가장 으뜸이고
    버르장머리 없는 미국 사람들은 다 후레자식인것 처럼 여겼는데 (제가 그랬다는 건 아니고)
    오히려
    미국에서도 부모와 자식의 관계에서
    정성과 성심을 다하는 분들을 많이 봅니다.

    어떤 삼강오륜의 강령을 넘어
    근본적인 인간애, 도덕...
    이런 것에 기초하고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 profile
    아기자기 2017.03.01 03:02
    충, 효, 열의 삼강의 가치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좋은 것이겠고,
    그것을 행하는 방법이 시대나 상황에 따라 다름을 인정해야겠지만,
    그것을 기득권을 위해 인위적으로 왜곡 강요하는 데에 문제가 있겠지요.

    기독교로 인해 왜곡의 굴레에서 해방되는 게 아니라
    더 굴절되는 점도 우리가 반성할 지점이라 생각됩니다.

    이제는 '글쓴이'가 누군지 다 알겁니다^^
  • ?
    민들레 2017.03.02 01:58

    defamiliarization, symptomatic reading 등 여기서 보다니. 여기 게시판에 쓰는 것만으로도 많은 교육적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성경 풀이는 차치하고서라도.  오래전에 논문 쓸때 쓰던 전문용어인데 감회가 새롭습니다

  • ?
    김원일 2017.03.02 07:18

    민들레 님,

    Inde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김원일 2014.12.01 8619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7 38680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7 54466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6300
925 신없이 도덕하기라는 글을 보고 1 진실 2017.03.06 221
924 내가 여기 들어 오는 이유 5 진실 2017.03.06 316
923 순종심이 사람보다 낫네요. 3 관광객 2017.03.06 160
922 <하나의 편지와 세 개의 축하엽서>중에서-오규원 6 백근철 2017.03.06 210
921 장시호, "최순실, 대통령 취임 후 청와대 서류 검토하느라 하루 2시간 쪽잠에 링거까지 맞아" 자매 2017.03.05 128
920 국정원, 헌재 '탄핵 동향' 불법사찰 의혹 sbs 2017.03.05 140
919 휴우머니즘 이라는 포스트 모던 신을 갖인 사람들 에게 박성술 2017.03.05 152
918 김원일 님, 신과 도덕의 문제에 대해 한 말씀 1 Humanism 2017.03.04 196
917 핵소 고지의 기적 - 데스몬드 도스 이야기 3 truly 2017.03.03 281
916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고통받는 아이들 그리고 그것을 믿지 않겠다는 트럼프 3 무실 2017.03.03 145
915 민초에 동영상이 올라가지 않는 분들께 알려 드립니다. 4 기술담당자 2017.03.02 117
914 여신학생에게 "몸 팔고 술 파는 사람은 안 될 거 아니냐"는 목사 2017.03.02 218
913 봄이와요 깨어나세요 1 file 2017.03.02 153
912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3 김균 2017.03.02 264
911 친절한 금자씨! 3 file The King 2017.03.01 325
910 접장님만 보세요 1 삼육동사람 2017.03.01 264
909 보혜사가 오신 후에 - 삼육대학교회 합창단 2 삼육동사람 2017.03.01 177
908 김주영 님 모교에 보혜사가... 아, 삼육대학! 김원일 2017.03.01 236
907 [싸이판] 신천지, 동아리 지원금을 노린다 우리동네 2017.02.28 133
906 눈물 12 Rilke 2017.02.28 306
905 "성령께 찬미하고, 성부와 또 성자" 9 file 김주영 2017.02.28 241
» 심청전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와 야베스의 기도 8 아기자기 2017.02.27 238
903 신 없이 도덕 하기 8 김원일 2017.02.26 290
902 신이 알려준 지식. 1 바이블 2017.02.25 231
901 오랜만에 심심해서 신이라면 바이블 2017.02.25 181
900 미주 뉴스앤조이에 나온 광고를 이용하여 또 한 번 선전. ^^ 김원일 2017.02.23 255
899 적막강산 3 새벽 2017.02.23 258
898 그렇다 18 박성술 2017.02.23 420
897 지금 대한민국을 소리없이 움직이는 5-5-5를 아시니요? 애국 2017.02.23 209
896 日에 굴복한 정부, "부산 소녀상 이전하라" 공문 뷰스 2017.02.23 58
895 x-대한민국이 위태롭다! 월남 패망 목격자의 악몽! 조국 대한민국을 위해 간절히 기도합시다!!! 걱정 2017.02.22 134
894 혼자 살기도 힘든 세상에서 남 걱정 많이도 했네 2 김균 2017.02.22 269
893 영화 '핵소 고지(Hacksaw Ridge)' 한국 개봉(2017.2.22)에 즈음하여. "주님, 한 명만 더 한 명만 더" (첨부파일) file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7.02.22 129
892 곽건용 목사 저 <알 수 없는 분>(꽃자리) 출판기념 북콘서트에 여러분을 초청합니다. 5 김원일 2017.02.21 235
891 안식교 Trans-European 지회 행정위원회가 대총회에 대고 한 말. 한국연합회, 쿠오바디스? 김원일 2017.02.21 339
890 SDA가 잘못 적용하는 증언구절들-x 1 file 개혁운동 2017.02.21 228
889 제21회 미주재림 연수회 file 새벽별 2017.02.20 95
888 확실하게 두둘겨 주는군요 1 장도리 2017.02.20 220
887 홍수 전과 후 신의 변덕을 어떤 목사는 이렇게 풀었다. 11 김원일 2017.02.19 368
886 김균 장로님 가정 선교 100주년 기념 예배 (1916-2016년) 1 천성교회 2017.02.19 847
885 트럼프와 일요일휴업법-x 1 앗 예언이 성취 2017.02.18 220
884 이재명의 '뚝심' 통할까? '아이 무상 진료' 파격 공약. "18세 이하 청소년-어린이 무상 진료" 파격공약 2017.02.17 217
883 짜장면 두그릇 곱배기 2017.02.17 154
882 엘리사의 기도와 오병이어의 기적 9 아기자기 2017.02.16 673
881 성소언어-좋은 친구님 참조 3 file 김균 2017.02.15 355
880 요즈음 그리고 오늘 10 file 김균 2017.02.14 543
879 이 세상 풍파 심하고 4 풍파 2017.02.14 209
878 "탄핵 음모" 서울디지텍고 교장, 교내 사이트에도 우파논리 '도배'. 이기범 기자. 1 어리석은자 2017.02.13 126
877 누가 삯꾼인가? 5 김주영 2017.02.13 265
876 성소와 세속도시 7 김주영 2017.02.13 306
875 악의 평범성 (Banality of evil)--사랑하는 내 모국의 아이히만, 김기춘 간신, 역적 1 김원일 2017.02.13 187
874 minchotheo 9 반상순 2017.02.09 545
873 "내가 무척 좋아하는 사람이고 영혼이 참 맑다" 영혼이 맑아서 참 좋았겠다 2 김균 2017.02.04 525
872 이 목사의 설교 4 김주영 2017.02.04 653
871 정유라의 말 중계업자 독일인 만나는 우리나라 대통령 1 김균 2017.02.04 302
870 3월 1일부로 이 누리의 이름을 바꾸려 합니다. 23 김원일 2017.02.02 758
869 오늘(미국시간 2월 1일)부터 설명 없이 삭제되는 글들은 대부분 그 이유가 이러합니다. (2.1 성명^^) 18 김원일 2017.02.02 532
868 미국에 계시는 네티즌님들 한 표 부탁합니다 4 김균 2017.02.01 470
867 깨달은 마음으로 쓰는 글 무실 2017.02.01 110
866 고무 배를 타고 오는 난민을 구하는 그리스 사람들 그리고 난민과 이민자를 더 이상 허용않겠다는 미국.... 4 무실 2017.01.31 215
865 sda성도님들께서 깨달아야할 중요한 빛 6 file 루터 2017.01.31 217
864 의의 기별을 거절하므로 둘째천사기별선포결과 6 file 루터 2017.01.30 161
863 거룩함의 정치 혁명  (마지막회) 곰솔 2017.01.29 129
862 극상품(완전한 품성) 포도나무에서 들포도가 맺힘은 어찜이요? 광야소리 2017.01.29 97
861 도올 김용옥 직썰 "박근혜 최순실 문제를 해결할 단 하나의 방법" 도올 2017.01.29 229
860 정결한 자들의 기도 제목은 심판 (25) 곰솔 2017.01.29 88
859 애덤 스미스 - 공감대로서의 도덕 (24) 2 곰솔 2017.01.27 158
858 일상의 금융화는 결국 이집트 7년 흉년으로? (23) 곰솔 2017.01.26 133
857 우리들의 세계 9 file 김주영 2017.01.26 524
856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종말 3 징조 2017.01.26 271
855 슬픈 메트로폴리탄 (22) 곰솔 2017.01.25 147
854 현대미술의 정치혁명 (21) 곰솔 2017.01.25 68
853 레위기 11장의 서곡 - 나답과 아비후 이야기 (20) 곰솔 2017.01.25 100
852 제국(요셉, 솔로몬)과 반-제국(다니엘) (19) 곰솔 2017.01.24 142
851 지구 7바퀴 반... 동해바다 2017.01.24 91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3 Next
/ 23

Copyright @ 2010 - 2024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