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36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01. 2000년 밀레니엄이 17년이 지난 2017년에,
한국 재림교회가 <1844년 조사심판>을 사경회 주제로 택한 이유는
어둔 밤길을 걸어가게 된 위기 상황에서 <밤중 소리> 같은 역할을 감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02. 최근 한국에 번역된 개신교 신학 서적들 중에는
제국주의를 비판하는 신약 성경, 특히 요한계시록 연구들이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 상황이 1세기 로마제국과 비슷하다는 맥락 때문이다.

 

03.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연말 직원 선거가 끝나면 그 결과에 불만을 가진 소수가
섬기던 교회를 박차고 떠나는 슬픈 일들이 여기저기에 많았다.
그런데 지금은 그런 분란조차 부러울 정도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04. 지난 회기에는 <지역선교협의회>라는 제도를 도입했지만 용두사미로 끝났다.
이번 회기에는 1년의 토론과정을 거쳐 <디딤돌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직접 교회들에게 선교지원금을 지원하겠다는 거다.

 

05. 올 초여름에 뚜껑을 열어봐야 하겠지만,
수도권 합회의 75%가 100명 이하이고, 전국적으로는 85%가 그렇다.
과연 무신론자가 급증하는 한국 사회에서 이 같은 파격적인 제안들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까?

 

06. 어쩌면 이런 행정결의도 교회를 건물이나 집단으로 전제하기 때문에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목회자로서 느끼는 교회란 성도들의 모임이고,
따라서 성도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달려 있다.

 

07. 그래서 미국이나 한국의 많은 목회자들이 행정적인 지도편달 대신에,
코칭을 배우기 위해 뒤늦게 공부한다고 한다.
채찍질이란 <편달>을 버리고
가르쳐서 이끈다는 <지도>도 옆에서 격려하는 코칭으로.

 

08. 여하튼 코칭을 통한 밤중 소리가 필요한 때다.
그런 측면에서 1844년과 조사심판은 매우 유효한 성경적 메시지이다.
이스라엘 역사에서 위기 때마다 심판은 선지자들의 공통된 메시지이기 때문이다.

 

09. 그런데 스포츠 세계에서의 코칭과 달리
신앙 세계에서의 코칭은 멘토 역할도 포함해야 하고,
그 이유는 성육신 하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죽임 당하신 어린 양이시기 때문이다.

 

10. 거품이 꺼지고 불황이 장기적으로 예고된 2017년 1월.
(4년 째 성장률 2%를 유지하기 위해 천문학적인 부채가 동원된다.) 
우리는 흠 없는 어린양의 희생을 바라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분처럼 거룩하심을 본받는 삶을 매순간 추구해야 한다.

 

11. 초기문집 14-17쪽을 다시 읽어보자.
우리가 어렸을 때 들었던 그 경건한 말씀들이 여전히 살아있고,
우리의 심성 깊은 곳에 그 여운이 여전히 남아 있음을 깨닫게 된다.

 

12. 물론 그 추억이 부정적인 상처로 남은 분들도 많다.
그런데 아이러니한 것은, 자신들과 전혀 다르게
그래서 자유롭게 키워보려는 어린아이들이
기대와는 전혀 다른, 엉뚱한 결과로 나타나는 모습을 보곤 아연실색한다.

 

13. 복음주의로 성경을 읽으면 백번을 읽어도 그 깊은 뜻을 헤아리기 어렵다.
왜냐하면 성경은 배부를 때 남겨진 유산이 아니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피눈물이 날 때 하늘을 쳐다보며 각오를 다지기 위해 기록했다.

 

14. 요즘 서울에선 인형 뽑기가 대유행이다.
이걸 탕진잼(탕진+재미)이라고 한다.
우리는 이런 <오늘만 살아가는 소비-자본주의(맘몬)>에서
제단을 쌓고 흠 없는 어린양을 죽여야 하는 제사를 드려야 한다.

 

15. 그리고 이 정신을 회복한 사람들이 있는 가정과,
그런 가정들이 모인 교회야 말로 암흑천지인 이 시대에 참 등대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가치는 촛불시대와 정확히 맞아떨어진다.

 

16. 행사가 마쳐진 뒤, 말없이 쓰레기를 줍는 사람들.
아무 대가를 바라지 않고 따뜻한 차 한 잔을 건네는 분들.
화장실을 안내하기 위해 푯말을 들고 서 있는 청년들.

17. 목회 30년 만에 처음으로 동네 교회가 되길 기도하고 있다.
이 기도는 전도지를 낙엽처럼 뿌린다는 뜻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동네를 위해 우리를 희생할 수 있을까를 위한 깊은 고민이다.

18. 언젠가 이 교회를 떠나는 때에...
그래서 사도 바울의 수많은 사례처럼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분들이 성령의 선물을 통해
더 놀라운 결실을 맺는 소식을 들려주는 기적이 일어나길 꿈꾼다.
 

  • ?
    동해바다 2017.01.15 12:43
    곰솔님 글
    10.그분처럼 거룩하심을 본받는 삶을 매순간 추구해야 한다.

    /

    질문,
    구체적으로 뭘 추구해야 한다는 말인가요?
  • ?
    곰솔 2017.01.15 13:55
    거룩이란 단어에 대한 이해부터 공감대를 형성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요즘 공부하는 레위기를 요약한 글을 소개합니다.

    ----

    레위기는 ‘거룩’을 중심 주제로 짜임새 있게 쓰인 책이다.
    책 전반에 ‘거룩’이 관통하고 스며들어 있다.

    이스라엘 백성이 거룩한 삶을 살도록 요청받는 이유는
    여호와께서 그들을 이집트의 속박과 노예 상태로부터 구원하셨기 때문이다.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려고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여호와라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지어다”(레 11:45).

    거룩한 이스라엘 백성은 우선 거룩하신 하나님께 거룩한 제사를 바쳐야 했다(레 1~7장).
    이때 거룩한 제사장들에 의한 하나님과 백성 사이의 신중한 중재가 가장 중요했다(레 8~10장).
    백성들과 제사장들 모두 거룩한 삶을 위해 자신의 신체와 주변을 늘 깨끗케 하는 정결법을 준수해야 했다(11~15장).
    그 ‘정결’이란 위생학적 개념을 넘은 정신적-제의적 개념의 ‘정결’로서 이방 나라와 구별된 삶을 살기 위한 표준이었다.
    백성들은 제의적 차원 뿐 아니라 윤리적 차원에서도 거룩한 삶을 살아내야 했다(레 18~20장).
    거룩한 제사장들은 성소를 위해 구별되었을 뿐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더 높은 수준의 제의적 규범과 윤리가 요구되었다(레 21~22장).
    여러 축제일은 여호와의 구원과 그분의 은혜를 감사하는 제사장 나라의 거룩한 날이었다(23장).
    가해자에게 동일한 댓가를 치르게 하는 법은 거룩한 나라의 정의구현을 위한 가장 근본적인 공평의 원칙을 제시하였다(24장).
    안식년과 희년은 거룩한 나라의 정의 실현을 위한 사회적 제도이다. (25~26장)
    마지막 27장은 거룩한 예물들에 대한 규정이다.

    거룩한 나라는 순종하는 백성으로 구성된다.
    그들은 자발적으로 정성스럽게 준비한 예물을 들고 예배의 자리로 나아온다.
    이스라엘 백성이 일상의 삶에서 거룩을 실현하는 데 실패하고 범죄하면
    속죄의 제사인 속죄제와 속건제를 통해, 또한 누적된 모든 죄들은 속죄일을 통해 해결하여
    거룩한 백성의 신분을 회복하고 유지한다.
    따라서 거룩의 원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마련된 속죄의 제의 시스템이야말로
    이스라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제도였다고 볼 수 있다.

    ----

    구체적으로 무엇을 추구해야 할지에 대한 성경적인 답이 되었나요?
    물론 문자적으로 준수하자는 것은 아닙니다.
    어린아이가 아닌 이상 의미파악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며...
    이제 하나님 나라를 세우려는 거룩한 성도들의 할일은 분명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저와 제가 섬기는 교회의 성도들은
    2017년부터 동네에서 작은 것부터 실천하려고 기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30-40세대들과 그들의 자녀들을 소비사회로부터 쉐마교육으로 이동하고...
    고령사회의 구성원들인 베이비부머들에게도 이웃들을 향해 작은 사랑을 실천하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김원일 2014.12.01 8619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7 38680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7 54469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6300
1150 억울한 누명을 쓴 하나님의 항변-I 1 정 석 진 2017.09.23 146
1149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더 잘 전염되는 이것 1 김주영 2021.01.20 146
1148 구원의 조건도 구원의 조건 나름이다. 율법과 계명은 구원의 조건이다, 뭐가 어때서? 2 눈뜬장님 2016.09.18 147
1147 구원받은 자는 이렇게 살지 않는다 - 계명에 충실한 자들을 "바리새주의로 지독하게 염색된 자들"로 매도하는 불법과 무법 5 한빛 2016.09.19 147
1146 트럼프 "부강한 미국, 아메리칸 드림 실현하겠다" - (110816) 아메리칸 드림 2016.11.09 147
1145 눈 둘곳이 없다 하늘에도 2016.11.11 147
1144 [1053회 그것이 알고싶다] 대통령의 시크릿 knowing 2016.12.12 147
1143 슬픈 메트로폴리탄 (22) 곰솔 2017.01.25 147
1142 (충격) 서해순 인터뷰서 흥분해 욕설 대폭발! 엘리스 2017.09.28 147
1141 바깥에 비는 억수같이 내리고 fallbaram. 2020.05.19 147
1140 장기적출의 나라 김균 2020.07.09 147
1139 코비드 백신을 (안)맞는 분들에게 김주영 2021.02.20 147
1138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다알리아 2021.04.14 147
1137 빅뱅 장 도경 2016.09.17 148
1136 "가난한 백성을 너의 중에 남겨 두리니" (스바냐 3:12) = 평화교류협의회가 북한 수해를 말하다 (첨부파일: 아래아한글, MS Word) 3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6.10.11 148
1135 순실이가 대통령이냐? 1 그네접신 2016.10.26 148
1134 나는 대통령 후보 박근혜를 배신했다...그러나 국민을 배신하지는 않았다. 동해 2016.10.28 148
1133 청와대 다녀온 목사, “대통령 임기 잘 마치도록 통성 기도 하자” 이단 2016.11.23 148
1132 달마가 눈을 부릅뜬 까닭 보름달 2016.11.18 148
1131 [EBS 다큐프라임] <강대국의 비밀 5부> 1964년 미국, 미시시피 자유여름운동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6.11.28 148
1130 “박 대통령, 머리 안 했다고 작별 인사도 안 받아” 1 박대박 2016.12.12 148
1129 내가 아는 가장 진보적인 할머니 선쌍임 여사. 황금동사거리 2016.12.28 148
1128 미국의 북한 선제공격 시나리오 알림 2017.09.05 148
1127 Chandelier-박정현 3 김균 2020.12.19 148
1126 ‘속지 않는 자’가 가장 잘 속는다 김원일 2021.10.03 148
1125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모든 면에 대해 거룩함을 원하시며, 부정하고 가증한 음식물 가리는 것도 당연히 포함된다. 10 눈뜬장님 2016.09.18 149
1124  그들의 혀는 사람을 속이며  푸른집 2016.11.19 149
1123 '강골 윤석열'이 돌아왔다! 1 뷰스 2016.12.01 149
1122 어떻게 판단하십니까? "중국인 잠수부 밤마다 무언가 꺼내와" 도둑님 2016.12.11 149
1121 너의 이름을 평생 기억해줄께 산울림 2017.01.20 149
1120 코로나19로 모임이 저지되니 2 김균 2020.03.20 149
1119 6.25 한국전쟁 당시 대통령(이승만)은 일본에 망명 요청 1 니뽕 2016.09.07 150
1118 JTBC "최순실 PC 더 충격적 진실, 8시 뉴스룸서 공개" 실체 2016.10.25 150
1117 '위에 있는 권세'라는 번역이 교인 식물인간 만들어 1 진리 2016.11.28 150
1116 함성 무명 2016.12.04 150
1115 '진리'는 Jtbc(www.jtbc.co.kr)에 있다. 8시 뉴스에 덴마크에서 체포된 정유라 체포 장면 jtbc 단독 현장 취재 코펜하겐 2017.01.02 150
1114 좌파와 중산층 2 산울림 2017.01.20 150
1113 육식의 반란-마블링의 음모 눈장 2017.04.20 150
1112 요즘 나는 2 소망 2017.05.13 150
1111 진보와 보수라고 자칭하는 분들께 김균 2020.04.13 150
1110 George Floyd를 위한 사회주의 기독교인들의 기도 김원일 2020.06.01 150
1109 아! 기독교 1 김균 2020.07.29 150
1108 여성, 불확실성 앞에 가상의 적이 되다 여성 2016.10.03 151
1107 지진에도 가만히 있으라, 학생들 분노 1 생 사 2016.09.12 151
1106 민초 스마트 폰과 사이트 점검 안내입니다. 1 기술담당자 2016.09.12 151
1105 입에 지퍼를 단 사내 3 이 가을에 2016.09.24 151
1104 그녀는 더 버텨야 한다 1 촟불켜고 2016.11.25 151
1103 "대통령이 검찰총장 자르라 지시했으나 안 먹혔다" 만만 2016.11.27 151
1102 靑 "朴대통령, 돌아오는 차 안에서 울었다" 2 악어 2016.12.01 151
1101 King Solomon (3) 2 file 곰솔 2017.01.07 151
1100 근본 신분바로알기 2 하주민 2017.05.13 151
1099 명료하지 않은 것은 불어가 아닙니다. 1 강직한 2017.06.17 151
1098 입맛에 맞도록 변형된 성경들 하주민 2017.06.24 151
1097 미국이 우리 민족을 세 번 배신한 역사적 사실(6) 1 의열 2017.07.02 151
1096 택시 운전사 보고 울다 2 지경야인 2017.08.26 151
1095 <NYT> "북한, 미치기는커녕 너무 이성적" 1 뷰스뉴스 2016.09.11 152
1094 '최순실 게이트' 닮은 영화 차단한 '박정희' 아부지 2016.11.23 152
1093 전용근의 음악 산책-이바노비치 다뉴비강의 잔물결(Donauwellen Walzer) 백향목 2016.09.24 152
1092 왜 '조사심판'이며, 왜 '재림 전 심판'인가?(20090831)-1 1 김균 2016.10.14 152
1091 우병우 현상금 펀딩’ 1700만원 돌파…주갤 ‘중간수사결과 발표’ 의사 2016.12.12 152
1090 안희정 “반기문, 눈치보느라 자신이 모시던 대통령 조문도 안한 사람” 1 who 2016.12.20 152
1089 휴우머니즘 이라는 포스트 모던 신을 갖인 사람들 에게 박성술 2017.03.05 152
1088 안식일(9) 두 안식일 1 김균 2020.09.07 152
1087 안녕하십니까. 한 동안 자리를 비웠던 이 누리 "주인장" 김원일입니다. 김원일 2021.01.19 152
1086 국립대 교수가 SNS에 대통령·더민주 대표 향한 욕설 댓글 5 부경 2016.09.11 153
1085 눈장님-말세 이야기 5 김균 2016.09.17 153
1084 잠시 쉬어가시지요 - 영문번역 퀴즈! 3 의문 2016.09.18 153
1083 노무현 전 대통령 무릎 꿇고 어느 한 가정에 방문한 사건 1 산다는거 2016.12.13 153
1082 왕실장이 보시길 바라며 눈꽃 2016.12.21 153
1081 봄이와요 깨어나세요 1 file 2017.03.02 153
1080 그릇 이야기-1 2 fallbaram. 2020.05.08 153
1079 살리에리의 양심만 같아도 2 1 장 도경 2016.09.06 154
1078 로그인이 안되는데? 4 지경야인 2016.09.12 154
1077 [새벽 명상 1] . . 신앙한다는 것이 - - 예수 그리스도를 복사하는것인가? 복제하는 것인가? 그리고 내가 하는 것인가? 아니면 하나님께서 해 주시는 것인가? 6 hm 2016.09.27 154
1076 똑같이 선생 밑에서 배워도 누구는 우등생되고 누구는 꼴찌하는법. 율법주의는 어디에나 있다. 2 이봉창열사 2016.09.19 154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3 Next
/ 23

Copyright @ 2010 - 2024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