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25.01.16 17:33

합당한 예배 형식

조회 수 281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 재림교회의 동립 메다아 선교단체가 이번 안식일 오후에 < 개혁과 회중 예배> 란 주제로 세미나를 한다고 공개 초청했습니다 만약 참여한다면 어떤 질문이나 주제 발표를 하시겠습니까 기독교  예배가 대분의 종교같이 권선징악의 도덕 훈계보다 내가 경험은 못했으나 하느님에 대한 간증의 시에 곡을 붙인 찬송을 더 많이 듣고 참여하는 시간을 늘리는 예배 형식이 어떨까 싶네요

  • ?
    무실 2025.01.17 19:17
    저는 장로 교회에서 20년 예배를 드리다 재림 교회에 와서 30년 예배를 드리는데 예배 형식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장로 교회에서는 목사님 한 분이 거의 처음 부터 끝까지 인도를 합니다. 재림 교회는 사회자 기도자 음악 인도자등 여러 분들이 참여합니다.

    코로나를 지난 후 제가 다녔던 장로교회를 인터넷 상으로 찾아가 보니 이전에 수백명이 함께 예배하던 곳에 사람들이 거의 비어있었습니다. 인터넷 예배에 참여하는 사람들 수도 수십명이 안되어서 많이 놀랐는데 반전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인터넷 예배나 회중이 모두 함께 모이는 공식 예배보다 구역별로 나누어 가정에서 예배를 정기적으로 드리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놀란 것은 그 교회에서 지난 여름 아프리카 선교를 가서 학교를 서너 곳 세우고 교회 10곳을 건축하고 돌아와 드린 선교 여행 소식을 보고 많이 놀랐습니다.

    지금 다니는 재림 교회는 코로나 전에 모이던 수의 반에서 3분의 1 정도 숫자의 성도들이 안식일에 1번 모여 예배를 드립니다. 청년들은 따로 집회를 하고 아이들도 한 달에 한 번 따로 예배를 드리고 있습니다. 인터넷 예배는 코로나 때의 반보다 더 적은 수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니는 교회에서 부르는 찬미가는 40년 전에(미국판) 만든 것인데 거의 반 이상이 장로교회에서 부르던 노래들이어 익숙하며 또 대부분 이전부터 알던 복음성가들을 불러서 큰 부담이 없습니다.

    <개혁과 회중 예배> 에 대해 딱히 생각나는 질문이나 발표하고 싶은 주제는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코로나가 끝이 났는데도 교회 성도들의 예배 참석 수가 현저히 줄게 되었는데 마지막 때가 가까울 수록 모이기를 힘쓰라고 했는데 사회의 변화, 환경의 변화로 모이는 것이 점점 어렵게 되는 것을 경험합니다.
  • ?
    들꽃 2025.01.18 15:25
    예배 형식은 비숫하리라 생각됩니다 한때 교단 차원에서 특정 예배 형식을 <축제식 예배>라고 비난했으나 지금은 별 말이 없내요 분위기를 짐작텐데 대중이 좀 즐거운 형식을 찾으려나 생각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김원일 2014.12.01 12834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7 42263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7 5851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9675
1720 창세전에? fallbaram. 2025.03.02 102
1719 오해 1 fallbaram. 2025.02.27 121
1718 바램 5 fallbaram. 2025.02.25 182
1717 칼치를 함께 먹은 집사의 장노 안수를 생각한다 1 fallbaram. 2025.02.04 220
1716 기쁜소식 교회 목사의 기도? fallbaram. 2025.02.03 127
1715 나중 온것은 먼저 온 것보다 얼마나 더 좋은것일까? fallbaram. 2025.01.25 287
1714 시펀 23편 일본어 성경 3 무실 2025.01.17 695
1713 목적과 목적지가 바뀌면 6 fallbaram. 2025.01.17 608
» 합당한 예배 형식 2 들꽃 2025.01.16 281
1711 광야의 만나도 거듭나야 한다고? fallbaram. 2025.01.14 195
1710 행함의 예배에서 믿음의 예배로 거듭나야 2 fallbaram. 2025.01.13 361
1709 거듭나야 할 예배 (남자의 예배에서 여자의 예배로) 1 fallbaram. 2025.01.12 346
1708 니고데모에게 설명한 그날밤의 "거듭남"이란 2 fallbaram. 2025.01.11 263
1707 전에 중국관련 글 하나 썼는데 김균 2025.01.09 239
1706 먼저 온 것은 절대로 "마침"이 아니다 6 fallbaram. 2025.01.06 344
1705 유한한 것과 영원한 것의 차이 fallbaram. 2025.01.06 246
1704 먼저 태어난 자와 나중 태어난 자의 성서적 운명? fallbaram. 2025.01.04 195
1703 사도요한과 사도바울의 간곡한 부탁? 1 fallbaram. 2025.01.04 283
1702 겸손하기 위하여 겸손할 필요가 있을까? 2 fallbaram. 2025.01.03 245
1701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fallbaram. 2024.12.31 161
1700 과정책 겉 표지 2 들꽃 2024.12.28 408
1699 이 땅이 어디라고 감히 2 김균 2024.12.25 285
1698 공정과 상식이 춤 추는 곳 3 김균 2024.12.25 283
1697 민초의 사랑방이 되려나 2 fallbaram. 2024.12.22 302
1696 소갈증 3 김균 2024.12.20 273
1695 우격다짐 7 fallbaram. 2024.12.20 526
1694 우리교회의 선지자 김균 2024.12.19 175
1693 성경 전반에 걸쳐서 이렇게 훌륭한 관점이 흐를수 있다면 알마나 좋을까 2 fallbaram. 2024.12.15 326
1692 김대성 목사 -- 최삼경 목사 70이레 지상 논쟁-2 (수정 추가) 달타냥 2024.12.14 409
1691 오직 성경 오직 그리스도의 의미 2 fallbaram. 2024.12.13 362
1690 김대성 목사---최삼경 목사 70이레 해석 지상논쟁 달타냥 2024.12.12 688
1689 예수는 길이요 ( 요 14:6) 1 들꽃 2024.12.05 307
1688 지옥의 자식 2 김균 2024.12.01 378
1687 다촛점 교회 3 fallbaram. 2024.11.29 621
1686 재림의 징조 1 김균 2024.11.28 297
1685 예수님은 왜 사팔이를 낫게하는 이적을 행하지 않으셨을까? 2 fallbaram. 2024.11.27 335
1684 등록이란 두 글자 3 김균 2024.11.22 347
1683 울고싶다는 영감님을 생각하며 fallbaram. 2024.11.21 206
1682 교회에 퍼 질고 앉아 1 김균 2024.11.21 295
1681 막달라 마리아 2 김균 2024.11.18 376
1680 우리 교회는 선지자가 계십니다 2 fallbaram. 2024.11.17 283
1679 이산가족을 만난 것 같은 fallbaram. 2024.11.14 308
1678 설교가 지겨우면 6 김균 2024.11.09 384
1677 다 늙은 몸! 3 fallbaram. 2024.11.07 553
1676 장가를 가더니 6 김균 2024.11.03 720
1675 오래된 기억 2 file 막내민초 2024.09.03 541
1674 지옥 가다가 돌아오다 2 김균 2024.06.23 1502
1673 너무 그러지 마시어요 2 김균 2024.06.23 946
1672 안식일 준수 3 들꽃 2024.06.22 789
1671 성경은 누구를 아들이라고 하는가 (1) fallbaram. 2024.06.19 579
1670 재림교인 되기 5 들꽃 2024.06.19 1262
1669 중세기의 신 이야기 7 김균 2024.06.18 923
1668 성경이 말하는 죄의 변천사 fallbaram. 2024.06.18 760
1667 계시록 13:11-18의 두 뿔의 양같은 짐승은 거짓 선지자인가, 소아시아의 고유 제국 숭배 현실인가, 미국인가 3 들꽃 2024.06.17 1711
1666 성경이 시작하고 성경이 끌고가는  살아있는 안식일의 변천사 1 fallbaram. 2024.06.16 911
1665 문자로 읽고 싶은 것은 문자로 읽고 해석이 필요한 것은 또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고 3 fallbaram. 2024.06.16 819
1664 자유 2 fallbaram. 2024.06.16 699
1663 들을 귀 있는자는 들으라 fallbaram. 2024.06.07 1179
1662 삼십팔년된 병자가 누구인가? 1 fallbaram. 2024.06.05 1240
1661 아주 간단한 질문 16 fallbaram. 2024.06.05 1760
1660 왜 오늘은 이리도 쓸쓸한가 7 fallbaram. 2024.06.04 1470
1659 "어깨넘어"로를 넘어야 할 우리 5 fallbaram. 2024.05.27 1296
1658 의학상식 fallbaram. 2024.05.27 1142
1657 오늘은 야외예배를 가는 날 3 fallbaram. 2024.05.17 1275
1656 한국남자 서양남자 그리고 그 남자 3 fallbaram. 2024.05.05 1100
1655 감리교단의 동성애 목회자 허용 2 들꽃 2024.05.03 1243
1654 교단 사역역자에 대한 비난 들꽃 2024.04.30 733
1653 길이란 fallbaram. 2024.04.26 1311
1652 독서의 불편 3 들꽃 2024.04.24 1212
1651 안식일의 완성 fallbaram. 2024.04.24 1087
1650 배려와 권리 사이 2 fallbaram. 2024.04.18 748
1649 먼저 준 계명과 나중에 준 계명 fallbaram. 2024.04.17 1546
1648 먼저 된 자로서 나중 되고 나중 된 자로서 먼저 될 자 1 fallbaram. 2024.04.07 1171
1647 소문 3 fallbaram. 2024.03.31 1524
1646 일요일 쉼 법안 1 들꽃 2024.03.17 82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

Copyright @ 2010 - 2025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