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그 뒷처리

by 사후 posted Aug 02, 2017 Replies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뉴스 단신,

일본 토쿄 심장부에 어느 오십대 남자가

부모의 시신을 장기간 집에 방치한 이유로 구속되었다.

사연은,,, 그저 단순히 장례비용이 없다는 이유였다. 씁쓸하다.

 

조금 다른 이야기로 훌쩍 넘어 가본다.

 

티벳에 가면 지금도 鳥葬 이라는 장례 풍습이 있다. 天葬 이라고도 한다. 형제공처의 풍습으로도 유명한 티벳고원 사람들.

현재의 시각으로는 미개하고 야만적으로 보이지만 당연히 절대 그렇치 않음이다.

물가 사람들에게는 육지보다 물이 더 유용하고 가치가 높게 마련이다. 그래서 그들은 사람이 죽으면 물속에 던져서 고기밥을 만들어 줄뿐이고, 비옥한 땅을 갖고 살던 사람들은  매장하여 땅속에서 쉽게 분해되게끔 할 뿐이다. 티벳사람들에게는 수장시킬 물도 없거니와 미생물이 충분한 양질의 흙이 아닌 척박하고 먼지만 풀풀나는 땅이었기에 하늘 의 독수리에게 마지막 보시하는 방법을 택할 수 밖에 없었을게다.

물론 티벳의 불교적인 회귀의 의미도 포함되었을까. 차마고도,,, 나귀의 등에 잔득 실은 짐과 함께 먼길로 교역을 떠나는 마방의 삶, 때로는 다시 집으로 돌아올수 없다는걸 알았기에 형,또는 동생에게 마누라를 맏기고 가야했을거다.

최선의 선택이라는 것은 척박한 환경에서 만들어진다. 그들의 사회형태는 처절한 생존의 지혜일뿐이다.

 

자식이 없거나, 버림받거나, 능력이 없거나 ,,, 이런저런 이유로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이른바 고독사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보장 제도 잘되있고 부자나라인 일본에도 있는걸 보면 나라와 종족에 관계없이 분명한 사회문제가 된것이 틀림없다.

빈곤으로 인해 마지막 가는길 조차 장담할 수 없는 세상에 살고 있슴이다.

잘 사는것도 중요하지만 잘 죽는것이 더 큰 문제일거라는 인식을 누구나 하면서, 조심스레 생각을 확장해보면

자력으로 도저히 어쩔 수 없는 사람들에겐 적어도 국가가 마지막 가는길에 대한 도움을 줘야 하지 않을까,,,

담배를 사던 한병의 소주를 사던 누구나 세금을 내며 살아간다 말이다.

국가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국민의 한사람으로 더러는 화려하게 살았던 사람도 있고

또 여타의 이유로 하루아침 추락하여 끼니 걱정하다 최후를 맞이한 사람도 있을게다.

 

우리가 사는 현실, 지금 여기 ,,,이제는 수장도 풍장도 천장도,,, 가장 쉬운 매장이나 화장도  점점 더 힘든 상항이 되버렸다.

묻을 땅도 비싸다. 태워서 모시는 납골당도 적은돈이 아니다.

이제 국가가  편이 어렵고 외롭고 비참한 죽음에는 아주 작은 최소한의 도움을 어떤 형태로든 줘야한다는 생각이다. 

그런데 나는  돈이 없으니 죽지도 말아야 할까보다


Articles

2 3 4 5 6 7 8 9 10 11